본문내용 바로가기
“지방은 정비사업, 수도권은 도심복합개발로 건설상품 대전환해야”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3-18 15:54:29   폰트크기 변경      

건산연, ‘2025 건설산업 혁신을 위한 재탄생 세미나’ 개최
건설산업 지속가능 성장에 사람ㆍ시스템ㆍ상품 재탄생 필요


[대한경제=정석한 기자] 수도권 인구 집중, 지방 소멸 등 시대적 흐름과 수요자 니즈에 맞춘 획기적인 건설상품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지방 중소도시는 경제성이 부족해 제대로 추진되지 못 했던 ‘정비사업’, 수도권 등 대도시는 민간의 창의성이 결합된 ‘도심복합개발’이 대표적인 사례로 거론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충재, 이하 건산연)은 올해 개원 30주년을 맞아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 2층 CG아트홀에서 ‘2025 건설산업 혁신을 위한 재탄생 세미나’를 18일 개최했다.

세미나에서 건산연은 건설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혁신의 과제로 ‘건설산업 재탄생(Rebirth)’ 전략을 발표했다. 크게 △중점가치(사람ㆍ집단) △산업체계(제도) △건설상품 등에 있어 재탄생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중 눈에 띄는 건 미래 사회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건설상품의 대전환이다.

나경연 건산연 경제금융도시연구실장은 “지방의 경우 정비가 필요하나 그동안 소외됐던 곳을 중심으로 정비사업을, 수도권의 경우 민간의 창의성을 결합한 랜드마크형 도심복합개발을 추진해야 한다”며 “이를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을 제안한다”고 설명했다.

지방 정비사업의 경우 경제성이 모든 것을 좌우하는 과거의 패러다임을 모두 지우는 데서 시작한다. 경제성 없는 지역에서는 정비사업이 무기한 지연ㆍ무산되는 사례가 잦았고, 이는 지방의 쇠퇴를 부채질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를 위해 토지주, 공공, 외부 민간 투자자(FI, CI) 등이 공동으로 시행에 나서 리츠(REITs, 부동산 투자회사)를 구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사업비 확보, 전문성 강화, 다양한 시설의 조성ㆍ운영을 위해서다.

공동주택은 아파트 단지와 지역의 특성에 맞춘 +α 로 구성한다. 임대주택, 기반시설 등 설비 비용은 리츠의 출자비율대로 공동으로 부담한다. 정비사업 맞춤형 역모기지론, 지분매각 후 우선매수청구권 취득 등을 도입해 토지주의 재정착률을 높인다.

반면 인구가 집중될 수밖에 없는 수도권 등 대도시는 획기적인 도심복합개발을 통해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둔다. 민간의 창의성을 보장해 도심 개발자로서 역할을 적립하게 하고, 분양ㆍ임대 등 다양한 주택을 공급하게 한다.

공공기여의 개념도 확장한다. 도심복합개발에서 혁신적인 일자리 창출이 예상되면 용적률 인센티브를 주고, 공공성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시설을 확보하는 식이다. 건축물의 획일화를 탈피해 랜드마크적인 설계와 건설기술을 추가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이충재 건산연 원장은 “지난 30년 간의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도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건설산업의 혁신ㆍ도약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며 “현안 연구의 우선 수행과 더불어 재탄생 전략 연구를 추진하고, 정책 반영과 전략 실천을 위해 관산학연과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승구 건산연 이사장은 “이번 세미나는 건설산업의 현안을 해결하는 동시에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고,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이날 발표된 내용들이 건설산업이 과거의 영광에서 벗어나 현재의 위기를 딛고, 새로운 미래로 뻗어나갈 중요한 이정표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정석한 기자 jobiz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경제부
정석한 기자
jobize@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