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혼인 건수가 28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코로나 펜데믹 당시 미뤄졌던 결혼 수요가 몰리면서 5년 만에 20만건선을 회복했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24년 혼인ㆍ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22만200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23만9000건)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특히, 1년 전과 비교하면 2만9000건(14.8%) 증가했다. 증가 폭은 1996년(3만6000건) 이후 최대, 증가율은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다.
앞서 혼인 건수는 2022년 19만2000건으로 역대 최저치를 찍은 바 있다. 이후 2023년(19만4000건) 증가 전환한 뒤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증가한 셈이다.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나타내는 조혼인율은 4.4건으로 전년보다 0.6건 증가했다. 2019년(4.7건) 이후 5년 만에 최고치다.
시도별 조혼인율은 대전이 5.6건으로 가장 높았다. 2위는 세종(4.8건), 3위는 경기(4.6건)였다. 조혼인율이 가장 낮은 시도는 부산(3.5건)과 경남(3.5건)이었다.
지난해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 33.9세, 여자는 31.6세였다. 전년과 비교하면 남자는 0.1세 하락했고 여자는 0.1세 상승했다.
초혼 부부 중 남자가 연상인 부부는 63.4%, 여자가 연상인 부부는 19.9%, 동갑은 16.6%를 차지했다. 여자가 연상인 부부의 비율은 199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지난해 이혼 건수는 9만1000건으로 전년보다 1.3% 감소(-1000건)했다. 2020년부터 5년째 감소세다. 인구 1000명당 이혼 건수인 조이혼율은 1.8건으로 1년 전과 같았다.
평균 이혼 연령은 남자 50.4세, 여자 47.1세로 남녀 모두 전년보다 0.5세 상승했다. 이혼 부부의 평균 혼인 지속 기간은 17.2년으로 전년 대비 0.4년 증가했다.
시도별 조이혼율은 제주(2.5건), 충남(2.2건)이 높고, 서울(1.3건), 세종(1.4건)이 낮았다.
노태영 기자 fact@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