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농연회관 리모델링공사 현장 모습 / 사진 : 나경화 기자 |
[대한경제=나경화 기자] 홍성 농업인의 권리향상과 거점 활성화를 추진 중인 홍성군의 농업인 다기능 공간 & 신활력 공유플랫폼 조성사업(이하 홍농연회관 리모델링 사업)과 관련해 과다 공사비 논란이 불거졌다. 특히 사업추진 과정서 당초 홍성군의회 승인시 보고된 사업예산과 용도가 일방적으로 변경되는 등 사업 추진과정의 투명성 등이 도마위에 올랐다.
21일 군과 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홍농연회관 리모델링 사업은 홍성지역 농업인의 다기능 공유공간 및 창업인을 위한 활력있는 다기능 거점공간 조성을 목적으로 건축면적 1447.89㎡(약439평) 규모의 지하 1층, 지상 4층의 총사업비 46억 4400만원이 투입된다.
주요 리모델링 시설로는 관내 농업인 단체의 공동 오피스, 회의실, 교육장, 문화카페 등 복합 플렛폼 조성을 위해 지난 2023년 1월 사업을 시작으로 올해 12월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문제는 평당 925만 여원의 과다한 리모델링 사업비와 함께 공사장 안전관리가 허술하다는 데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기존 리모델링 평당 비용이 300만원에서 700만원이란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할 경우 홍농연회관 리모델링 공사비가 비상적으로 과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런 황당한 건축비 산정에도 불구하고 군민의 혈세가 투입되는 리모델링 공사는 철거, 건축, 통신, 전기 등 분리 발주로 감리가 제각각 선정돼 공사가 진행되면서 상호 협력과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던 것으로 평가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여기에 홍농연회관 리몰델링 공사장 주변은 홍성의 얼굴인 도청대로 4차선이 위치한 대로변에 위치해 차량과 보행자 등의 통행이 많은 곳임에도 주변 피해 방지를 위한 안전펜스도 제대로 설치하지 않아 비난이 일고 있다.
홍성군의회 군의원들 현장 방문 모습 / 사진 : 나경화 기자 |
특히 지난 19일 홍성군의회의 현장방문에 맞춰 안전조치를 취했으나 형식적이어서 보여주기식 뒷북 행정이라는 비난이 높고 군에서 추진하는 사업인지 의구심마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현장 방문에 참여한 군의회 의원들은 사업비가 당초 의회에 보고된 23억 여원에서 두배 가까이 늘어난 이유와 초기 계획으로 ‘농산물 직거래장터’에서 용도가 변경된 점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최선경 군의원은 “당초 예산 및 사용 등 보고된 사업의 내용과 현재 추진 내용이 상당히 다르고 최초 홍성군 농업인회관으로 농산물직거래 매장과 농업인단체 사무실 등을 조성하기로 했다”면서 공사비 증액과 사업 목적 변경에 대한 명확한 설명과 사전 공유의 부재를 지적했다.
문병오 군의원은 “의회에 보고된 사업 계획과 실제 현장에서 확인된 내용이 너무도 다르다”며 “이런 방식이라면 앞으로 집행부의 어떤 사업계획도 믿기 어렵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이에 대해 군농업기술센터 한 관계자는 “홍농연회관의 실효성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리모델링 공사비가 많이 증가하게 되었다”면서 “군의회의 현장조사와 함께 그동안 지적된 문제점 등이 개선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홍성=나경화 기자 nkh67@daum.net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