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가공실 문제에 대한 공동대응을 위해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전략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 사진 : 경제산업국 소상공인과 제공 |
[대한경제=김기완 기자] 세종시 상가공실에 대한 심각성이 커 지역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기가 좋지 않아 상가 입점을 하지 않거나, 입점을 했더라도 줄폐업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종시가 유관 기관과 공동대응 전략회의를 24일 개최했다. 시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세종특별본부와 전략회의를 열고 공동 대응방법을 논의했다. 각 기관의 전문성을 극대화해 상가 공실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성한 것이다. 3개 기관이 합동 수립한 종합대책은 공급 조절과 소비 진작, 지원체계 구축 등 활기찬 지역 상권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행복도시 상가 활성화 종합대책에 따른 기관별 과제 추진 현황 보고와 함께 지역 상권 활성화 관련 건의 사항을 논의했다. 상가 허용 용도의 대폭 완화와 미매각 상업 용지 용도 변경 등이 논의됐고, 시는 추후 일부 규제를 완화하는 방향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이승원 경제부시장은 "기관별 구체적인 실행 방안 등을 모색하는 자리로, 앞으로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상권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주엽 행복청 차장은 "어려운 시기일수록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며 "행복청도 세종시, LH와의 협력을 통해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어 내겠다"고 말했다.
송종호 LH 세종특별본부장은 "상가공실 공동대응 전략회의 시 논의된 소관 과제를 적극 이행할 계획으로, 상가 활성화에 보탬이 되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세종=김기완 기자 bbkim998@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