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인동 주민들, “지역 고유 이름으로”
![]() |
정문헌 종로구청장. / 사진 : 종로구 제공 |
[대한경제=박호수 기자] 서울 종로구가 서울지하철 1ㆍ6호선 동묘앞역을 ‘숭인역’으로 개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동묘(東廟)는 삼국지의 장수인 관우, 즉 관왕의 위패를 모신 사당 ‘동관왕묘’를 뜻한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들이 조선에 주둔하며 관왕묘를 세우고자 해 선조 34년에 완공됐으며 1963년 보물 제142호로 지정됐다.
그런데 종로구는 중국 명나라의 재신을 모신 사당인 동묘를 보물로 보전해야 하는 이유와 문화재적 가치를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구 관계자는 “동묘가 우리나라와 종로의 역사에 큰 의미를 지닌 곳이라고 보기 어려운 데다 지역 고유의 이름이라고 할 수 없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동묘앞역보다는 조선시대 한성부의 ‘숭신방’과 ‘인창방’에서 유래한 숭인이 서울의 정체성에 걸맞다고 판단해 ‘숭인역’으로 개명하길 원한다는 게 구의 입장이다. 구 관계자는 “종로에 깊은 애정을 가진 구민들과 상인들 또한 동묘앞역을 숭인역으로 바꿔줄 것을 계속해서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구는 오는 27일 ‘동묘앞역 개명 필요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 강연을 숭인2동주민센터에서 개최한다. 한국자유총연맹 종로구지회가 주관하고 복기대 인하대학교 대학원 융합고고학과 교수가 강연자로 나서며 뜻을 함께하는 구민과 상인 등이 함께한다.
정문헌 구청장은 “이번 강연이 구민 자긍심을 높이고 종로의 미래를 다시 한번 생각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면서 “지역주민과 상인들의 오랜 바람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박호수 기자 lake8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