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언론과 인터뷰하고 있다./사진: 현대차그룹 제공 |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 예고와 관련해 정부와 기업이 함께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열린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세 발표 이후 협상은 정부 주도하에 개별 기업도 해야 하므로 그때부터가 시작이 될 것”이라며 “4월 2일 이후가 굉장히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발표한 210억달러(약 31조원) 규모의 미국 투자 계획에 대해선 “한 개 기업이기 때문에 관세에는 큰 영향을 주기는 힘들 것”이라며 “관세라는 것은 국가 대 국가 문제이기 때문에 한 기업이 어떻게 한다고 해서 그 관세 정책이 크게 바뀔 거라고 생각을 못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만약 조금 좋은 영향이 있다면 굉장히 노력한 보람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백악관에서 투자 계획을 발표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원래 여기 공장으로 초청했는데 루이지애나에 제철 전기로 공장을 건설한다는 얘기를 들으시고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발표하는 것이 좋겠다고 하셨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9년 트럼프 대통령 방한 시 이미 미국 공장을 지을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그 점에 대해 이해를 잘 해주셨다”고 말했다.
현지 투자 이유에 대해서는 “관세에 대비해 공장을 짓고, 제철소를 만든다기보다는 앞으로 미국에서 생산할 차량을 저탄소강으로 만들어 팔아야 하는 시기가 오기 때문에 그 일환으로 준비하게 됐다”고 밝혔다.
HMGMA에 대해서는 “2019년부터 준비했는데 중간에 어려움도 있었지만 빨리 지어졌다”며 “전기차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차도 생산할 것이고, 여기 시장에서 원하는 모델을 만들어 전 세계 공장 중에서도 중점적으로 운영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은 HMGMA의 특징에 대해 “품질과 생산성 부분에서 최신 기술을 도입해 고객에게 좋은 품질의 차를 인도할 수 있는 부분이 가장 큰 것 같다”며 “8개 차종을 생산할 수 있는 유연한 공장으로, 고객 니즈 변화에 적시에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HMGMA에서의 기아차 생산 계획에 대해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물량의 40%는 기아 차종으로 만들 것”이라며 “첫 번째 차가 투입되는 시점은 내년 중반 정도”라고 밝혔다. 이어 “미국 쪽이 하이브리드 수요가 워낙 커지고 있기 때문에 첫 번째 차를 하이브리드로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생산량 증대가 한국 생산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에 장재훈 부회장은 “국내 생산이 저하된다기보다는 미국 시장을 더 공격적으로 확대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송호성 사장은 “기아가 현재 미국에서 85만대를 판매하는데 중기적으로 120만대까지 확대할 계획”이라며 “한국에서 생산하는 물량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중장기적으로 지속 성장하는 물량을 여기서 커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