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2월 전산업 생산, 소비, 투자가 각각 0.6%, 1.5%, 18.7% ‘반짝’ 증가했다고 밝혔다. 3대 지표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한 지난 1월과는 정반대의 트리플 호조세로 돌아선 것이다. 바람직한 모습이지만 성급한 기대는 금물이다. 우리 경제가 직면한 대내외 상황은 아직 위기의 연속이기 때문이다.
우선 산업활동동향 곳곳에 불안요소가 산재한다. 전반적인 상승세 전환은 마이너스를 기록한 1월 실적의 기저효과와 조업일 증가, 전기차 보조금 조기지급 등의 영향이 크다. 업종별로는 건설투자가 7개월 만에 반등했지만 철도, 도로 등 공공공사 조기발주 덕분으로 건축은 2.2%나 뒷걸음했다. 특히 자영업자들이 많은 숙박ㆍ음식점업 생산은 3.0% 줄어들었다.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최근 넉 달간은 감소 폭도 커지는 등 소비 심리는 더욱 얼어붙는 느낌이다.
거시적으로도 하방리스크가 너무 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S&P 등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 전망을 줄줄이 하향 조정한 데 이어 영국 캐피탈 이코노믹스는 급기야 1.0%에서 0.9%로 내렸다. 기재부(1.8%), 한국은행(1.5%)과 달리 자칫 0%대 추락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국가신용도를 보여주는 신용부도스와프(CDS)도 다시 반등세로 돌아섰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전쟁 확대, 산불 피해 후유증 등을 감안하면 벼랑 끝으로 몰렸다 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당장의 위기를 극복하려면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그제 제시한 10조원 추가경정예산을 하루빨리 집행해야 마땅하다. ‘괴물 산불’이 촉발한 재난 복구, 수출과 기술개발, 민생 안정을 위한 최소한의 마중물이자 재정건전성을 감안한 ‘필수 추경’이다. 정치권은 추경 집행을 흥정의 대상으로 삼지 말아야 할 것이다. 국민을 위한다면서 수렁에 빠진 국가 경제와 피폐한 지역 상권을 정녕 외면할 셈인가. 국회의 신속한 통과를 거듭 촉구한다.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