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경제=임성엽 기자] 서울시 내 도심(CBD)지역과 강남권, 서남권이 지반침하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약지반부터 지하공간 복합개발, 지하시설물 등 지반침하 유인 인자가 복합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지역이란 분석이다.
<대한경제> 단독입수한 서울시의 ‘지반침하 위험지도’에 따르면, 각종 공공청사부터 오피스지역이 밀집한 도심권역과 강남권역, 그리고 서남권역인 강서ㆍ양천ㆍ관악구 지역이 위험등급 5등급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는 서울시가 ‘지반침하 위험지도’를 비공개한 상황 속에서 단독입수한 지반침하 위험 등급별 분포 지도를 서울시 행정동 지도에 대응(매핑ㆍmapping)하는 방식으로 지역을 추정했다.
위험지역으로 분류된 지역은 공통적으로 지반침하의 출발점인 공동발생을 유발할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5등급 평가를 받았다.
‘지반침하 위험지도’는 서울시가 서울연구원과 함께 지반 특성과 지하수 흐름, 지하시설물 영향을 고려한 ‘지반침하 관측망’ 구성(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역별 지반침하 가능성을 평가한 뒤, 정비 필요성을 등급화해 도면화한 자료다. 서울시는 이를 근거로 올해 1월부터 전국에서 최초로 지반침하 관측망을 시범운영하고 있다.
서울연구원은 △연약지반 △지하수 관측공 △지하철 역사 △침하, 공동 발생이력 △지하수위 강하 △지반침하 위험모델 등 6가지 핵심인자를 고려해 지반침하 관측망 공간을 분석했고, 지반공학회 회원 40명의 전문가 평가를 거쳐 결정했다.
다만 서울시의 지반침하 위험지도는 전문가는 물론, 시민도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상식선에서 제작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하철 역이 밀집해 유출 지하수가 많거나, 터널 등 지하공간 굴착 공사가 많은 지역, 지반이 연약한 지역은 마땅히 싱크홀 유발인자인 ‘공동’ 관리 중요도를 높여 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해야 하기 때문이다.
박창근 가톨릭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는 최근 더불어민주당이 주최한 싱크홀 사고 긴급 전문가 간담회에서 “지반침하 위험지도’를 공개함으로써 지하안전에 더 신경을 쓸 수 있고, 주민이 경각심을 갖고 개선방안을 찾을 수 있다”며 “일본 마을에 가보면 마을 어귀 입구부터 홍수지도를 큰 판에 붙여놨다. 일본에서는 홍수위험지도를 공개하는데, 우리나라는 지하 안전지도를 만들어놓고 공개를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임성엽 기자 starleaf@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