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픽=대한경제 |
◆흑자기업, 코스피는 늘고 코스닥은 줄고
2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 따르면 코스피 12월 결산법인 614사(금융업 제외)의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보다 5.43% 증가한 2918조3719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61.68% 늘어난 196조8161억원, 순이익은 81.59% 불어난 142조8091억원이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2.34%포인트 높아진 6.74%, 순이익률은 2.05%포인트 뛴 4.89%다.
전체 상장사 가운데 10.3%의 매출 비중을 차지하는 삼성전자를 제외할 땐 매출액과 영업이익, 순이익 증가율은 각각 4.32%, 42.48%, 71.57%다.
순이익 흑자기업은 전체 614사 중 477사(77.69%)다. 이는 1년 전 456사(74.27%)보다 21사(3.42%포인트) 많아졌다.
같은 기간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1203사의 연결기준 매출액은 4.48% 늘어난 273조3467억원이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9조6403억원, 3조4817억원으로 2.71%, 13.45% 감소했다.
영업이익률은 3.53%, 순이익률은 1.27%다. 모두 0.26%포인트 하락했다.
순이익 흑자를 낸 곳은 1203사 가운데 692사(57.52%)다. 다만, 2023년에는 722사(60.02%)였다.
◆전기·전자가 이끈 코스피…코스닥은 업종 부진
업종별로 살펴보면 코스피 기준 전기·전자(14.08%), 운송·창고(12.86%), IT서비스(9.65%) 등 15개 업종의 연결 기준 매출액이 증가했다. 부동산(-33.54%) 등 5개 업종은 매출액이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전기·전자(755.01%), 운송·창고(47.95%) 등 10개 업종에서 늘었으나 건설(-99.31%), 부동산(-98.12%) 등 10개 업종에서 줄어들었다.
순이익도 전기·전자(380.42%), IT서비스(238.95%) 등 10개 업종을 중심으로 증가한 반면, 부동산(-93.01%), 비금속(-64.91%) 등 10개 업종은 쪼그라들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운송·창고(16.14%), IT서비스(14.53%) 업종의 매출액이 불어났다. 그러나 건설 업종은 11.96% 감소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유통 업종에서 각각 57.49%, 136.26% 증가했지만 전반적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올 1분기 실적 개선 '무게'…변수는 美
증권가에선 올해 1분기 기업의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인 에프앤가이드 기준 증권사 3곳 이상이 컨센서스를 제시한 국내 상장사 100사의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37조7300억원으로 전년 동기(30조9300억원) 대비 22% 높다.
다만, 전문가는 미국 예외주의 약화는 지속될 변수라고 꼽았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분기 주식시장 화두는 미국 예외주의 약화였다. 달러화 위상이 흔들린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며 "구도는 2분기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미국 경기 의구심을 만들었던 관세 리스크가 당장 소멸하지 않는다. 예외주의 정점 통과도 지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관주 기자 punch@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