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송호성 기아 사장이 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기아 보도발표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질의응답하고 있다./사진: 강주현 기자 |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송호성 기아 사장이 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과 관련해 “기아의 장점은 가장 유연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그런 체질”이라고 밝혔다.
송 사장은 이날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기아 보도발표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내부적으로 방향 설정이 나오면 어떻게 신속하고 잘 극복해 나갈 것인지 연구해 보도록 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앞서 트럼프 정부가 수입산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기아의 대응방안이 주목되는 상황이다. 이날 발표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은 추가 적용되지 않는다.
관세의 영향을 받는 멕시코 공장의 생산 및 수출 계획과 관련해 그는 “현재로서는 변화가 없고, 우리가 가진 공장을 최대한 활용하는 게 가장 좋지 않겠나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격 인상 여부에 대해서도 “현재로서는 없고, 아직 그런 이야기를 하기엔 빠르다”고 답했다.
지난달부터 공식 가동 중인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는 기아의 관세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HMGMA는 연산 30만대 규모로, 향후 50만대로 증설될 예정이다.
송 사장은 “HMGMA에서 생산되는 차의 40%는 기아 차량이 될 것이며, 내년 중반부터 생산될 것”이라며 “(전기차인) EV6와 EV9은 조지아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HMGMA 생산 차종은) 하이브리드차 모델로 검토 중이다”고 말했다.
최근 선보인 기아 첫 픽업트럭인 타스만의 미국 진출 계획에 대해선 “타스만은 원래 미국과 유럽을 제외한 나머지 시장 쪽 픽업 시장을 공략하려고 개발한 차”라며 “미국 시장의 픽업 트럭은 지금 현재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미국 시장에 출시 준비 중인 픽업 모델에 대해선 “라지 보다는 미드 사이즈로 생각하고 있으며, 친환경 쪽으로 가는 게 낫지 않겠나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