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서울모빌리티쇼] BYD 전기세단 ‘씰’ 상륙…4750만∼5250만원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4-03 19:30:45   폰트크기 변경      
1회 충전으로 570㎞ 주행…사전예약 돌입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부문 대표가 브랜드 두 번째 한국 진출 모델인 ‘BYD 씰(SEAL)’을 소개하고 있다./사진: 안윤수 기자 ays77@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BYD코리아가 3일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데이가 열린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브랜드 두 번째 한국 진출 모델인 ‘BYD 씰(SEAL)’을 국내 최초로 공개하고, 사전 예약에 돌입했다. 가격은 4750만원에서 5250만원 사이로 형성될 전망이다.

이날 공개 행사에서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부문 대표는 “씰은 BYD 브랜드의 기술혁신과 미래를 향한 방향성이 여실히 녹아 있는 차량”이라며 “지난 1월 소개한 아토 3가 전기차 보급 확산을 위한 모델이었다면, 두 번째 선보이는 씰은 BYD 브랜드의 기술 혁신과 방향성이 잘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씰은 낮은 차체와 유선형의 쿠페형 디자인이 특징이다.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는 매끈한 외관이 0.219의 공기저항계수를 실현했다. 덕분에 82.56㎾h의 BYD LFP 블레이드 배터리로 최대 570㎞(RWD, 유럽 WLTP 기준)까지 달릴 수 있다. 사륜구동(AWD) 모델의 1회 주행거리는 520㎞다. 배터리 용량 20%에서 80%까지 약 30분 만에 충전할 수 있는 최대 150㎾의 DC 충전도 지원한다.

특히 BYD 전기차 라인업 중 최초로 셀투바디(Cell-to-Body: CTB) 기술이 적용됐다. 배터리팩의 상단 커버를 차체 바닥과 완전히 일체화해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구조로, 충돌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주행성능도 준수하다. AWD 모델은 전면부 160㎾, 후면부 230㎾의 듀얼모터를 탑재해 최대 390㎾(530마력)의 성능을 발휘한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까지는 3.8초만에 도달한다. 여기에 iTAC(지능형 토크 적응 제어) 시스템을 적용해 토크 출력을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확보했다.

전ㆍ후방 교차충돌 경고, 하차 주의 경고 등 레이더와 전방뷰 카메라를 활용한 다양한 안전 및 첨단 운전 보조 기능 패키지도 기본 사양으로 제공된다.

실내는 스포티함과 고급스로움이 조화를 이룬다. D컷 스티어링 휠과 헤드레스트 일체형 시트가 스포티한 감성을 표현한다. 천연 나파 가죽 시트, 물방울에서 영감을 받은 크리스탈 기어 레버, 은은한 엠비언트 조명은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형성한다.

거주성은 아쉽다. 전장 4800㎜ㆍ전폭 1875㎜ㆍ휠베이스 2920㎜의 제원을 갖춰 중형세단으로 분류되지만, 체감되는 거주성은 준중형 세단에 가까웠다. 실내 설계와 시트 배치 등이 공간 효율성을 떨어트린 탓으로 풀이된다.

출시 시점은 아직 미정이다. 조인철 대표는 “현재 인증 절차를 밟고 있으며, 가급적 빠른 시기에 인도가 가능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관계 당국과의 협력을 통해 필요한 절차를 거쳐 출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AWD 모델을 먼저 출시하고 RWD 모델은 추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BYD코리아가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전시하는 양왕 U8(오른쪽), U9./사진: 강주현 기자

BYD코리아는 이번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씰 외에도 아토 3, 씨라이언 7, 양왕 U8, U9, 덴자 D9, Z9GT, 포뮬러 바오 BAO 5 등 브랜드의 주요 모델 8종을 전시한다. BYD 아토 3 시승체험 등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한다.

이날 미디어데이엔 현대차ㆍ기아 전시관 만큼이나 BYD 전시관에도 많은 취재진이 몰렸다. 현대차가 신형 넥쏘와 아이오닉6 등을 세계 최초로 공개한 점을 고려하면, BYD에 대한 관심도 상당하다는 평가다. 특히 아토3 출시 당시 가격 경쟁력을 강조한 것과 달리, 이번엔 기술 경쟁력을 앞세웠다는 점에서 BYD가 한국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일 것이란 시각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앞서 출시한 아토3는 보급형 모델이지만, 씰은 수준급 전기 세단이라는 점에서 출시의 의미가 남다르다”며 “BYD의 공세가 본격화 될 만큼 국내 업계도 긴장해야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주현 기자ㆍ민경환 수습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산업부
강주현 기자
kangju07@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