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尹 파면 이후 ‘불수용’ 여론 상승…‘국민통합’ 과제로 남아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4-07 16:16:04   폰트크기 변경      
‘수용 8.5%p↓’ㆍ‘불수용 13.6%p↑’…여야 지지율은 동반 하락

리얼미터 제공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수용할 수 없다는 여론이 재확산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진영 갈등과 사회 혼란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7일 리얼미터에 따르면 지난 2∼4일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를 받아 전국 18세 이상 남녀 15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윤 대통령에 탄핵심판 선고 결과를 ‘받아들인다’는 응답은 76.9%,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답변은 17.4%로 나타났다.

그런데 일간 지지율을 살펴보면 헌재 선고기일인 4일을 기점으로 크게 출렁이는 양상을 보였다. 선고 전인 2∼3일 조사(1013명)에서는 수용 응답이 79.7%, 불수용이 12.9%였다. 하지만 탄핵이 인용된 4일 조사(503명)에서는 수용 의견이 8.5%p 하락한 71.2%였던 반면, 불수용 응답은 큰 폭(13.6%p)으로 늘어난 26.5%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이 장기화되면서 보수진영 일각에서 기각을 확신했던 만큼 실망감과 반발이 커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이 탄핵에 대한 승복 메시지 없이 사실상 지지층을 향한 메시지만 내놓고 있어 강경보수층의 결집과 ‘현실부정’으로 인한 사회 갈등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6일 자신을 지지해 온 단체인 ‘국민변호인단’에 보낸 메시지에서 “나라의 엄중한 위기 상황을 깨닫고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싸운 여러분의 여정은 대한민국의 위대한 역사로 기록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저는 대통령직에서는 내려왔지만, 늘 여러분 곁을 지키겠다”고도 밝혀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돼 온 대선국면에서의 ‘사저 정치’ 등 우려를 더욱 키웠다.

주요 보수 성향 커뮤니티와 유튜브 등에는 헌재 판결에 ‘불복’하겠다는 주장들이 이어지고 있는 것을 넘어, ‘윤 어게인(Yoon Againㆍ윤석열 재집권)’이라는 구호도 확산되고 있다

여당인 국민의힘 역시 단호하게 ‘선긋기’에 나서지 못하는 모습이다.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윤 전 대통령과 관계를) 정리해야 한다는 것이 주류적 분위기가 아닌 것은 분명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관계 설정을 명시적으로 하는 것보다 물 흐르는 대로 가야 한다”며 “여론과 지지자 마음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는지 보고 결단할 것이 있으면 그때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리얼미터 조사에서 탄핵 심판 이후 가장 중요한 과제에 대해 25.8%가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대화와 국민 통합 노력’을 꼽았다. 이어 △대통령제 개편 및 국회 권한 조정 등 정치 제도 개혁(24.6%) △여야 간 협치를 강화해 국정 운영 정상화(22.0%) △12ㆍ3 비상계엄 및 탄핵 사태에 대한 윤 전 대통령 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책임 인정과 공식 사과(17.6%) 순이다.

여야 지지율과 차기 대권 진영 선호도에선 여야가 동반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정당지지도는 민주당이 2.5%p 하락한 44.8%, 국민의힘이 0.4%p 내린 35.7%로 조사됐다. 또 차기 대선에서 ‘정권교체’ 의견은 0.2%p 하락한 56.9%, ‘정권연장’은 0.8%p 떨어진 37.0%로 나타났다.

리얼미터 측은 “탄핵 국면에서 여야가 정치적 공세에만 집중하며 추경예산 편성 및 국민연금 구조 개혁과 같은 정책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던 게 양측 모두의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정치사회부
강성규 기자
ggang@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