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이근우 기자] 한국무역보험공사는 미국 상호관세 등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기업경영 위축, 수출감소 우려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미 관세대응 긴급지원 태스크포스(TF)’를 설치했다고 8일 밝혔다.
무보는 미 관세 피해 긴급 대응을 위한 전사적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사장이 TF를 총괄하고, 부사장 3인이 각각 유동성 지원, 공급망 재편, 정책ㆍ홍보 파트를 맡아 위기대응의 신속성과 수출지원의 실효성을 함께 높일 계획이다.
![]() |
무보가 8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美 관세 대응 긴급지원 TF’ 출범식을 개최하고 있다. /사진:무보 제공 |
향후 TF는 △국내 18개 지사, 국외 23개 지사 현장 네트워크 활용(관세피해접수) △중소기업 자금지원 대책 수립(유동성 지원) △대체시장 진출 및 신규 수입자 발굴 지원(공급망 재편 대응) △국내 생산시설의 해외 이전을 위한 시설자금 및 해외 현지법인 운전자금 지원(프로젝트 금융 지원) 등을 추진한다.
특히 국내 수출기업뿐 아니라 해외진출 기업을 포함해 주요 수출업종별ㆍ규모별 애로 및 피해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긴급지원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우리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미국, 베트남 등의 경우 해당 국가 소재 지사를 활용해 현지 정책동향 및 기업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한편 무보는 트럼프 당선 이후 관세대응을 위해 마련된 ‘범정부 비상수출대책’을 충실히 이행중이다.
미 관세로 인해 피해가 발생한 수출기업에 대해 무역보험 한도를 최대 2배로 확대하고, 중소ㆍ중견기업인 경우 수출보험료를 한시적으로 최대 60%까지 할인을 적용한다.
해외로의 생산시설 이전 및 신규투자를 추진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연중 2조원 이상의 해외 투자자금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해외 동반진출을 위해 국내 시중은행으로부터 해외투자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 이를 금융조건을 우대한다.
또 우량 수입자와의 대규모 수출계약을 체결한 기업이나 생산시설 확충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재무상태가 악화된 중소기업 대상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특례보증제도를 개선해 성장가능성이 있는 중소기업은 50억원, 중견기업은 100억원까지 금융지원이 가능해졌다.
이근우 기자 gw89@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