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 대상ㆍ시간도 확대
![]() |
[대한경제=이승윤 기자] 서울시는 ‘서울형 키즈카페’를 올해 200곳까지 확대하고 이용 대상ㆍ시간도 늘린다고 14일 밝혔다.
서울형 키즈카페는 2022년 5월 종로점을 시작으로 시ㆍ자치구에서 직접 운영하는 시설과 민간 키즈카페 등 모두 137곳이 운영 중이다. 지난달까지 모두 65만명이 이용했고, 이용 만족도나 재방문 희망 의사가 거의 100%에 이를 정도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시는 다음 달 시립 보라매공원점, 시립 화곡점을 시작으로 올해 시립 문화ㆍ체육시설 안에 각 시설의 특성을 살린 시립 키즈카페 8곳을 추가 개관한다.
서울공예박물관에는 공예 요소와 아이들의 창의성이 결합한 키즈카페가, 서울상상나라에는 미술작품과 연계한 오감 체험형 키즈카페가 각각 문을 연다. 서울식물원에는 ‘정원’을 콘셉트로 식물과 조화를 이룬 놀이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가족들의 주말 나들이를 위해 공원이나 광장, 학교시설 등에는 주말에만 여는 ‘주말형 키즈카페’를 하반기부터 새롭게 선보인다.
평일에는 기존 공간의 원래 목적대로 사용하되, 주말에만 가변형(비고정식) 놀이기구를 설치해 아이들의 놀이공간으로 운영하는 방식이다. 중구 다산동 마을마당, 중랑구 문화체육관, 강서구 마곡하늬공원 등 11개 구 16곳을 시작으로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는 보다 많은 아이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키즈카페 이용 대상을 확대하고 이용 시간도 늘리기로 했다.
오는 15일부터는 서울시가 아닌 다른 시ㆍ도에 살더라도 서울 소재 직장인이나 학생, 사업자 등 ‘서울 생활권자’라면 자녀와 함께 키즈카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 우리동네 키움포털에서 원하는 이용 날짜를 예약할 수 있고, 사원증이나 학생증, 사업자등록증 등을 현장에서 제시하고 입장하면 된다.
아울러 토ㆍ일요일 등 주말 이용을 원하는 시민들이 많은 만큼 오는 19일부터는 모든 시설로 주말 운영이 확대되고, 주말 운영 회차도 기존 3회에서 4~5회로 늘어난다. 다만 종사자가 2명 이하이거나 0~4세인 영아 전용 소규모 시설, 특화 프로그램 운영시설 등은 주말 운영 연장에서 제외된다.
평일에는 아이들의 어린이집 하원시간 등을 감안해 마지막 회차인 3회차 종료 시간이 기존 오후 5시30분에서 오후 6시로 늘어난다.
김선순 시 여성가족실장은 “서울형 키즈카페가 부모와 아동 모두에게 큰 행복을 주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올해는 문화ㆍ체육시설 내 유휴공간을 적극 활용해 키즈카페를 더욱 확대하고, 이용 시간도 연장하는 등 한층 향상된 공간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승윤 기자 lees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