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서울지하철 노선도 40년 만에 새 단장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4-16 12:40:05   폰트크기 변경      
“보기 좋고 찾기 쉽게”… 전면 재디자인

서울알림체 적용… 여의도역엔 영상 가동


[대한경제=이승윤 기자] 1974년 개통 이후 연장과 확장을 거듭하며 서울지하철 1~9호선을 포함해 23개 노선까지 늘어난 ‘호선별 노선도’가 40년 만에 새 옷으로 갈아입는다.


서울지하철 2호선 가로형 단일노선도(신형)/ 사진: 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내외국인 모두가 읽기 쉬운 ‘신형 단일노선도’ 표준디자인을 개발해 서울교통공사와 협의를 거쳐 올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부착한다고 16일 밝혔다.

단일노선도는 지하철 전동차, 승강장 내부와 안전문 등에 부착된 각 호선별 노선도를 말한다. 역명과 역별 환승가능 노선, 편의시설 등이 표기돼 있다.

하지만 지금 쓰는 노선도는 역위치와 노선 이동방향, 지방자치단체 경계 등 중요한 지리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호선별 표기체계도 통일되지 않아 초행길이나 어르신 등은 불편함을 겪어왔다. 1호선의 경우 지금은 218㎞ 길이에 102개 역이 4개 광역지자체에 걸쳐있는 초장거리 노선이 됐지만 표준화된 디자인이 없었다.

역별 번호와 다국어 표기도 부족해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개선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에 시는 분야별 전문가 자문과 검토 등을 거쳐 신형 단일노선도를 개발했다. 가로형, 세로형, 정방형(안전문 부착형) 등 3가지 형태다.

새 노선도는 전체적으로 ‘쉬운 정보 전달’에 중점을 뒀다. 색각이상자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색상체계와 함께 환승라인을 신호등 방식으로 표기하고, 외국인의 이용을 돕기 위해 역번호를 표기했다.

게다가 서울과 다른 지자체의 경계, 한강 위치와 분기점 등 서울의 중요한 지리적 정보를 반영해 이용 편의도 높였다. 국내외 관광객이 즐겨찾는 DDP, 남산서울타워 등 서울 대표명소에 대한 독창적 디자인의 픽토그램 14종도 개발해 노선도에 적용했다.


관광노선도 예시(픽토그램 적용)/ 사진: 서울시 제공


특히 새 노선도에는 시가 새로 개발한 ‘서울알림체’가 처음으로 적용됐다. 서울알림체는 자연스러운 손글씨 형상과 섬세한 곡선 모양의 획, 이음 구조를 적용한 게 특징이다.

아울러 시는 세계 최초로 승강장 안전문에 설치된 투명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통해 새 노선도를 영상 형태로도 선보인다. 우선 5호선 여의도역 승강장에 LG디스플레이의 55인치 투명 OLED 패널 총 32대를 설치하고 역 운영시간대에 가동한다.

최인규 시 디자인정책관은 “신형 단일노선도는 읽기 쉽고 보기 쉬운 디자인으로 제작됐다”며 “향후 전동차, 승강장은 물론 굿즈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돼 서울을 대표하는 디자인 아이콘으로 글로벌 도시 위상 강화와 관광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윤 기자 lees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정치사회부
이승윤 기자
leesy@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