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공공재건축’ 망우1구역, 분담금 최대 1억원 감소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4-21 11:24:27   폰트크기 변경      
지난달 정비계획 변경 고시 완료

분양 세대수 49↑…사업 탄력 기대


망우1구역 공공재건축 조감도. / 사진 : 정비몽땅 


[대한경제=박호수 기자] ‘1호 공공재건축’ 대상인 망우1구역이 용적률 상향과 분담금 감소 효과를 모두 거두면서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랑구는 ‘망우1구역 공공재건축 정비계획 변경’에 따라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사업이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갔다고 21일 밝혔다.

당초 망우1구역은 주민공람까지 마쳤지만, 구는 사업성을 확보하기 위해 서울시와의 협의를 거쳐 보정계수 반영을 요청했다. 이후 도시계획심의(수권분과위원회)에서 수정 가결을 이끌어냈고, 주민 재공람 절차를 거쳐 정비계획이 최종 고시됐다.

정비계획 변경을 통해 해당 구역이 제2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되면서 용적률이 271%까지 높아졌다. 이에 높이는 최고 25층, 가구 수는 기존 478가구에서 527가구로 증가했다. 평형 구성도 바뀌었다. 전용 85㎡ 초과 가구 수를 줄이고(98가구→50가구) 중형(60㎡ 초과∼85㎡ 이하) 가구를 60%(189가구→349가구)까지 늘렸다.

결과적으로 이 같은 변화는 사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구 관계자는 “조합원 1인당 분담금도 평형에 따라 최대 1억원 가까이 감소할 것으로 분석된다”고 강조했다.

망우1구역의 한 조합원은 “처음에는 재건축이 가능할지 불안했지만, 중랑구가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조합원으로서 체감되는 변화가 크다”라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한편, 공공재건축은 민간 정비사업으로는 사업성이 부족하거나 주민 갈등으로 사업이 장기간 정체된 곳을 대상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나 서울주택도시공사(SH) 등 공공이 참여하는 정비사업이다.

구 관계자는 “이번 정비계획 변경은 ‘2030 서울특별시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방향과도 부합한다”라며 “저평가된 공시지가 문제를 개선하고, 기반시설 정비,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체계 개선 등을 통해 사업성을 높인 바람직한 사례”라고 평가했다.

구는 서울시의 규제 완화 기조에 맞춰 통합심의 등 간소화된 절차를 적극 활용하며 사업이 원활히 추진되도록 행정지원을 이어나간다는 방침이다.

류경기 중랑구청장은 “망우1구역은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한 지역으로, 이번 정비계획 변경은 주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라며 “조합원들의 부담은 줄이고, 사업은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뒷받침하겠다”라고 말했다. 

박호수 기자 lake8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정치사회부
박호수 기자
lake806@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