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경제=김현희 기자] 올해 1분기 은행권의 건설·부동산 부실채권 규모가 무려 1조5000억원까지 늘어나면서 은행들마다 건설업 대출을 줄이고 나섰다. 지난해 4분기 연말까지만 해도 건설업 대출은 9% 정도의 증가세를 보였는데 올 1분기에는 0.07% 감소세로 전환한 것이다.
은행들은 계속되는 중견 건설사들의 부도 등으로 리스크 관리에 나선 모습이지만 경기부양을 위해서는 건설업 지원이 우선돼야 한다. 새 정부도 경기부양을 최우선으로 내세우는 만큼 각종 개발사업을 통한 건설업 지원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3일 은행연합회에 공시된 5대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 NH농협)의 올해 1분기 일반현황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5대은행의 건설업 대출은 총 27조4226억원으로 지난해 연말 27조4410억원보다 184억원 줄었다. 특히 은행들은 지난해 호실적을 바탕으로 전체 기업대출 규모를 늘렸지만 건설업 대출만은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임대업 대출도 지난해 연말 231조6439억원에서 올해 1분기 231조6315억원으로 124억원 줄었다.
건설·부동산업 대출이 증가세에서 감소세로 이어진 것은 지난해 1분기 이후 1년 만이다.
그중에서도 하나은행은 지난 1분기 건설업 대출만 2000억원가량 줄였다.
이는 부실 우려 때문이었다. 5대은행의 건설·부동산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은 지난해 연말 1조2717억원보다 17.8%(2268억원) 늘어난 1조4985억원을 기록했다.
건설업 고정이하여신은 같은 기간 16.2%(639억원) 늘어난 4560억원이었고, 부동산·임대업 고정이하여신은 1조원 넘어 1조425억원으로 18.5%(1629억원) 늘었다. 부동산PF 부실이 여전하다는 것이다.
이렇다보니 기존사업의 만기연장 등을 제외, 신규 PF사업으로는 자금이 흘러가지 않았다는 게 관련 업계의 전언이다. 건설업계는 부동산PF 자금 공급이 원활하다는 금융당국의 의견에 "그렇지 않다"고 계속 반박해왔다.
은행권은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고 건설업 부양책 등이 나와야 신규 자금을 풀 수 있다는 입장이다. 각종 개발사업을 확대, 추진할지 부동산 옥죄기로 이어질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는 리스크 관리가 최우선이라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가운데 건설경기 위축으로 내수 부진을 비롯한 성장률 둔화가 지속되고 있고, 자금난에 봉착한 중견 건설사들은 계속 줄도산을 이어가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도 지난달 29일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건설업 부진이 국내성장률을 끌어내리는 요인이 됐다고 지적한 바 있다. 통화정책으로 건설업을 부양하기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시장에서는 새 정부도 건설업 부양책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대출도 그에 따라 증가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은행권 관계자는 "지금 각종 개발사업이 중단된 상태인데 새 정부가 개발사업 부양을 들고나오면 은행들도 건설·부동산업 대출을 늘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현희 기자 maru@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