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를 지난 17일 만나 "두 나라 간 조약의 범위 내에서 협조할 내용을 확정하고 관련 계획을 수락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8일 보도했다. / 연합=조선중앙통신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정부가 북한이 공병ㆍ군사 건설인력 등 6000명을 러시아에 추가 파견하기로 한 것에 깊은 우려를 표하며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16일 이날 주요7개국(G7)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는 캐나다 캘거리에서 기자단과 만나 “우리는 (북한의 파견을) 지지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도 이날 “북한 해외 노동자의 접수ㆍ고용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라며 “북러가 불법적인 협력을 지속하는 데 엄중한 우려를 표하고, 이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유엔 안보리 결의 2397호는 해외에서 소득을 창출하는 모든 북한인을 송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북러 협력은 유엔 안보리 결의와 국제법을 철저히 준수하는 가운데 한반도 및 전 세계 평화ㆍ안보에 위해가 되지 않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는 전날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난 후 러시아 매체 기자들에게 북한이 러시아 영토에 매설된 지뢰 제거와 우크라이나의 공격으로 파괴된 인프라 재건을 위해 병력을 추가로 파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북한군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직접 참전한 데 이어 종ㆍ휴전 이후 재건사업에도 참여하는 것을 공식화한 것으로 해석된다. 러시아 타스 통신에 따르면 파견 규모는 군사 건설인력 5000여명과 지뢰 제거 등을 담당하는 공병 1000여명이다.
미국 국무부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한 군사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북한 노동자와 군인들을 계속해서 사용하는 게 깊이 우려된다”며 “북한 정권도 노동력과 군인을 빌려주는 대가로 정권에 절실히 필요한 자금을 받기 위해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