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이미지투데이. |
[대한경제=김봉정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회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한국은행도 다음 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커졌다.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하고 가계부채 급증 우려가 커지면서 연준의 신중 기조가 한은의 통화정책 결정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연준은 17~18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했다.
이번 결정은 시장의 예상과 부합했지만 점도표에 반영된 위원들의 금리 전망에는 변화가 있었다.
올해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이상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 연준 위원은 10명으로 3월보다 다소 줄어든 반면 연내 금리 동결을 전망한 위원은 4명(3월)에서 7명으로 증가한 것이다.
이는 연준 내부에서도 금리인하 속도와 시기에 대한 견해차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선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그는 “현재의 정책금리는 경제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며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성급한 정책 조정을 자제하겠다는 기존의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다.
특히 관세 인상이 소비자 물가에 얼마나 전가될지, 기대인플레이션 경로가 어떻게 움직일지에 대한 불확실성을 강조했다.
다만 이스라엘-이란 간 긴장 고조가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정학적 갈등으로 유가가 상승하더라도 그 영향은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고 미국은 1970년대와 달리 해외 원유 의존도가 크게 낮아진 상태라는 설명이다.
이번 FOMC에서 공개된 연준의 경제전망에도 다소 변화가 있었다.
연준은 올해 미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7%에서 1.4%로 하향 조정했고 연말 개인소비지출(PCE) 기준 인플레이션 전망치도 2.7%에서 3.0%로 상향했다.
경기 둔화 우려와 함께 물가 부담이 여전히 크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향후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이 같은 연준의 입장은 한은의 향후 통화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2.75%에서 2.50%로 인하하면서 미국과의 금리 차가 2.0%p까지 벌어진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한은이 추가 인하에 나설 경우,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고 외국인 자금이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서울을 중심으로 집값이 다시 오르고 가계대출이 급증하는 점도 한은의 동결 가능성에 힘을 싣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주간 기준으로 약 6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기대감에 더해 다음 달 시행 예정인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규제가 매수 심리를 앞당기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지난 19일 “한은은 경기 흐름을 고려해 금리를 결정하겠지만, 과도한 유동성 공급으로 기대심리가 과열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가계부채, 주택시장, 외환시장 등을 면밀히 지켜보면서 인하시점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은은 이날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파월 의장이 미국 관세정책 영향 등을 고려해 정책을 신중히 결정하겠다는 입장인 가운데 연준 위원들의 전망은 크게 엇갈리고 있다”며 “향후 통화정책 경로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만큼 금융·외환시장 변동성 확대에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김봉정 기자 space02@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