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이종호 기자]펫보험 시장은 매년 빠르게 성장 중이지만 반려동물 수와 비교하면 여전히 가입률은 미미하다. 이는 보험사의 상품이 소비자 니즈를 반영하지 못해서다. 보험업계에서는 ‘표준수가제’가 도입이 펫보험 활성화의 핵심으로 보고 있다.
1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10개 손해보험사의 지난해 말 기준 펫보험 보유계약 건수는 16만2111건이다. 펫보험은 2018년 이후 매년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지난해는 전년(10만9088건)과 비교해 약 49% 증가했다. 하지만, 전체 반려동물 숫자와 비교하면 보험 가입률은 2% 수준이다.
펫보험이 활성화 되지 못하는 이유는 반려동물 보험 계약과 보험금 청구나 지급을 위한 등록·관리 체계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표준화된 진료 정보도 없어 같은 질병이라도 동물병원마다 진료 항목과 명칭은 물론 진료비용까지 많은 편차를 보이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그간 정부도 반려동물 보험 활성화를 위해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4월 반려동물 보험 활용을 위해 병원에서 자주 진료하는 표준진료 절차를 마련한 바 있다. 외이염, 결막염 등 동물 질병명 3511종과 초진, 입원, 예방접종 등 진료행위 4930종의 명칭과 코드를 표준화했다.
다만, 표준화된 진료 정보 및 절차 사용은 권장 사항으로 의무사항이 아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보험업계는 이재명 대통령 공약 중 하나인 반려동물 표준수가제에 대해 기대하고 있다. 표준수가제는 현재 제각각인 동물병원 진료비에 대한 표준수가(범위)를 제시하는 것으로 같은 질병이면 동일 치료비를 지급하게 돼 보험사 입장에서도 보험상품을 만들 때 지급 보험규모를 추산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문제는 표준수가제 도입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 2017년 농식품부가 수가제 도입을 추진했지만 당시 수의사들의 반발로 무산됐다. 아울러 보험업계는 표준수가제 도입에 앞서 진료항목과 진료행위명의 표준화가 함께 필요하다고 얘기하고 있다.
손해보험사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원하는 펫보험 상품을 만들려면 표준수가와 진료항목 표준화 등이 선행돼야 한다”며 “같은 질병이라도 동물병원마다 서로 다른 진료명을 쓰고 있고 가격도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보험상품을 만들때 큰 걸림돌이 된다”고 말했다.
이종호 기자 2press@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