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준희 삼성SDS 대표가 26일 잠실 삼성SDS 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삼성SDS는 기업들이 생성형AI를 업무에 활용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사진:삼성SDS |
 |
삼성SDS 솔루션사업부 송해구 부사장이 26일 열린 미디어데이에서 Brity Copilot과 Brity Automation의 Agent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심화영기자 |
 |
삼성SDS 클라우드서비스사업부 이호준 부사장이 26일 열린 미디어데이에서 AI Agent가 적용된 FabriX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심화영기자 |
[대한경제=심화영 기자] 삼성SDS가 생성형 AI 기반 ‘기업용 AI 에이전트 플랫폼’ 시장의 주도권 확보를 공식화했다. 단순 보조 역할을 넘어, 사용자의 개입 없이 스스로 판단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에이전틱(Agentic)’ 서비스를 전면에 내세우며, AI 업무혁신과 시스템 전환 수요가 높은 공공ㆍ금융ㆍ대기업 시장을 정조준한다.
삼성SDS는 26일 서울 잠실캠퍼스에서 ‘생성형 AI 미디어데이’를 열고, ▲AI 에이전트 플랫폼 ‘패브릭스(FabriX)’, ▲AI 기반 협업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 ▲업무 자동화 솔루션 ‘브리티 오토메이션’을 삼각 축으로 한 AI 에이전트 전략을 공개했다.
△패브릭스로 ‘코드 전환부터 의사결정까지’…공공ㆍ금융시장 확장
삼성SDS의 생성형 AI 플랫폼 ‘패브릭스’는 기존의 단순 응답형 모델에서 진화해, 에이전트가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특히 금융권처럼 보안 민감도와 전환 비용이 높은 분야에 특화된 ‘코드 전환 에이전트’를 필두로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있다.
이호준 삼성SDS 클라우드서비스사업부장(부사장)은 “패브릭스를 통해 코드 자동 전환·검증·수정까지 에이전트 간 협업으로 구현되며, 개발비용을 평균 68% 절감했다”며 “현재 70여 개 고객사, 13만여 명 이상이 사용하는 국내 최대 규모 AI 에이전트 플랫폼”이라고 밝혔다.
삼성SDS는 현재 행정안전부의 범정부 초거대 AI 공통기반 구축, 국회의 빅데이터 플랫폼, 경찰청, 온나라시스템 등 다수의 공공 프로젝트에 패브릭스를 적용 중이며, 9월에는 공공 전용 패브릭스를 민관협력형 클라우드(MCP) 형태로 확장할 계획이다.
△코파일럿에서 퍼스널 에이전트로…“나 대신 일하는 AI”
협업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은 사용자 업무 패턴을 학습해 스스로 판단·처리하는 퍼스널 에이전트 체계로 진화 중이다. 삼성SDS는 ▲실시간 다국어 통역 ‘인터프리팅 에이전트’(출시 완료) ▲일정 브리핑 ‘브리핑 에이전트’ ▲업무 응답 ‘앤서링 에이전트’ 등 총 5종의 특화 에이전트를 연내 순차 출시한다.
송해구 삼성SDS 솔루션사업부장(부사장)은 “실제로 내부 임직원의 일 평균 단순문의 3.8건을 에이전트가 처리해 1.4시간의 업무 집중 시간을 확보했다”며, “AI 비서가 단순한 지원을 넘어 사용자 대신 업무를 수행하는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RPA 솔루션 ‘브리티 오토메이션’도 올 10월부터 ‘에이전틱 봇’ 체계로 전환된다. 기존 단순 반복 업무를 넘어, 데이터ㆍUI 변동이 있는 복잡한 시나리오도 자연어 명령만으로 설계ㆍ수행ㆍ에러처리까지 자동화할 수 있다. 삼성SDS는 이를 통해 오피스 업무의 70%까지 자동화 범위가 확장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도입 사례로, 재무 부서의 1500건 경비 처리 업무를 24시간에서 5시간으로 단축했다는 결과도 공개됐다.
△GPU 1000장 확보…생성형 AI 경쟁사 대비 “70% 요금, 보안ㆍ운영 주도권도”
삼성SDS는 AI 인프라 확보를 위해 H100 GPU 1000장 이상을 포함해 연간 5000억원 규모의 고성능 GPU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암, 수원, 구미, 춘천, 동탄 등 5개 데이터센터와 대구 민관형 데이터센터를 활용 중이며, 엔비디아 A100ㆍH100ㆍL40s 등으로 LLM 훈련과 고성능 AI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구독형 요금제를 기반으로 MS Copilot 대비 70% 수준의 비용 경쟁력, 프라이빗 클라우드 선택 옵션, 보안성과 데이터 분리 인프라 등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삼성SDS는 브리티 웍스 등 글로벌 솔루션 사업도 본격 확장 중이다. 올해는 미국 시장을 토대로 기반을 닦고, 내년부터는 유럽 진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현재 삼성 관계사 매출 비중은 66.7% 수준으로, 전사적자원관리(ERP) 클라우드ㆍ공공사업 확대를 통해 대외 매출 비중을 단기간 10% 이상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이준희 대표는 “생성형 AI는 더 이상 실험이 아닌 산업용 무기로 자리잡고 있다”며, “삼성SDS는 언어모델, 데이터, 기업 시스템에 대한 통합 이해도를 바탕으로 기업과 공공의 ‘AI 트랜스포메이션’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심화영 기자 doroth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