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도시철도 '하단~녹산선'이 지하로 들어가는 명지국제신도시 전경 / 사진: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
[대한경제=최지희 기자] 이재명 정부의 기술형입찰 1호로 꼽히는 턴키(설계ㆍ시공 일괄입찰) 방식의 ‘부산도시철도 하단~녹산선 건설공사’가 유찰됐다. 부산교통공사가 연약지반에 따른 싱크홀 발생 우려를 공사비에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정치적 결정에 따라 발주를 강행한 탓이다.
1일 조달청에 따르면 부산교통공사가 발주한 추정금액 1조2800억원의 이 공사에 아무도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PQ) 서류를 내지 않아 유찰됐다.
이는 명지국제신도시 관통 구간을 정치적 판단에 따라 지하화하며 빚어진 결과다. 한 때 입찰 참여를 검토했던 중견 건설사 관계자들은 “발주 초기만 해도 전체 노선을 지상으로 계획했는데, 일부 정치인 공약으로 연약지반 구간을 지하화해 사업성이 급격하게 악화했다”며 “현 상태로 발주하려면 기획재정부의 사업성 심의를 다시 받아야 한다. 이 조건으로 공사할 건설사는 없다”고 입을 모았다.
‘하단~녹산선’은 현재 건설 중인 도시철도 ‘사상~하단선’을 이어 하단역에서 을숙도와 명지국제신도시를 거쳐 녹산국가산단까지 총 연장 13.47km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애초 전 구간 지상으로 건설할 예정이었으나, 지역 민원과 선거철 공약에 따라 명지국제신도시 구간 2.3km를 지하화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4개 공구로 나눠 건설하려던 건설계획도 단일 공구 턴키 방식으로 바꿔 건설사 부담이 커져 유찰되고 말았다.
한 대형 건설사 임원은 “앞서 착공한 6.9km 연장의 사상~하단 구간의 5개 공구 모두 현장 원가 실행률이 20% 가까이 초과한다”며 “부산교통공사의 이 같은 소극 행정을 경험했는데 건설사들이 또다시 불이익을 감수하고 참여하길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꼬집었다.
최지희 기자 jh6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