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7월 금리인하설’에도 데이터만 본다는 파월…韓은 가계부채 압박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7-02 16:34:32   폰트크기 변경      
연준, 오는 29~30일 FOMC…한은, 10일 금통위

사진=이미지투데이.

[대한경제=김봉정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일부 인사들이 이달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하며 시장의 기대감을 자극했지만 제롬 파월 의장은 “모든 것은 데이터에 달렸다”며 기존 원칙을 재확인했다.


한국은행도 이달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완화 기조는 이어가되 과열된 주택시장과 가계부채를 고려해 금리인하에는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연준은 이달 29~30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한국은행은 오는 10일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각각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미국의 경우 당초 7월 금리인하 가능성은 낮게 점쳐졌지만 지난달 미셸 보먼과 크리스토퍼 월러 등 연준 인사들이 잇따라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시장의 관심이 다시 이달 인하 여부에 쏠렸다.


보먼 이사는 한 콘퍼런스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억제된다면 이르면 7월 회의에서 금리인하를 지지할 수 있다”고 밝혔고 월러 이사도 인터뷰를 통해 “금리인하를 고려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파월 의장은 지난 1일(현지시간) 유럽중앙은행(ECB) 포럼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아니었다면 기준금리는 더 낮았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금리 인하 여부는 데이터에 달렸다. 어떤 회의에서도 결정을 미리 배제하거나 확정하진 않겠다”고 밝혔다. 

시장 전망도 동결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7월 기준금리 동결 확률은 80%를 넘는다.


다수의 연준 인사들이 금리인하 시점에 대해서 신중론을 유지하고 있어서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월 단행한 상호관세 유예기간이 이달 8일 종료되는 만큼 연준이 이달 말 회의에서 관세의 영향을 명확히 확인하기 어려워 시기상 인하 결정을 내리기엔 이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내도 마찬가지로 한은은 오는 10일 기준금리를 2.5%로 동결할 가능성이 크다.


서울 아파트 가격과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지며 물가와 금융안정 측면의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한은은 지난달 27일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에서도 “서울 아파트 가격이 2018년 9월 이후 최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8~9월 중 가계대출이 다시 급증할 수 있다”며 “과도한 금리인하 기대가 주택시장 심리를 자극하지 않도록 인하 시기와 속도를 신중히 결정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시장에서는 한은의 연내 금리인하 시점이 8월에서 10월로 밀릴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다만 금융당국이 이달부터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 속도를 기존 계획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축하고, 수도권·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최대 6억원으로 제한하는 등 대출 억제에 나서면서 한은의 통화정책 완화 부담을 일부 경감해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지난달 가계부채 증가와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모두 기준선을 넘어선 상태여서 한은이 7월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면서도 “금융당국이 대출 총량 규제를 강화한 만큼 향후 관련 지표에 변화가 생기면 8월 인하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전했다.



김봉정 기자 space02@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금융부
김봉정 기자
space02@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