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한국은행 제공. |
[대한경제=김봉정 기자] 지난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석 달 만에 반등해 다시 4100억달러선을 회복했다. 달러 약세에 따른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미국 달러 환산액이 증가한 영향이다.
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6월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102억달러(약 557조원)로 전달(4046억달러)보다 56억1000만달러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5월 말 기준으로 약 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까지 줄었다가 반등한 것으로 상승 폭도 지난 2023년 1월(68억1000만달러) 이후 최대다.
한은 관계자는 “달러화 약세로 인해 유로화, 엔화 등 기타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이 늘어나고 운용수익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6월 한 달간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의 상대적 가치를 의미하는 달러지수(DXY)는 약 1.9% 하락했다.
자산 구성별로 보면 국채나 회사채 등 유가증권은 3585억달러로 전월 대비 14억7000만달러 줄었다.
반면, 예치금은 265억4000만달러로 68억6000만달러 늘었고 특별인출권(SDR)도 158억9000만달러로 2억1000만달러 증가했다.
매입 당시 가격 기준으로 집계되는 금 보유액은 47억9000만달러를 유지했다.
한편,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지난 5월 기준으로 세계 10위 수준이다.
△중국(3조2853억달러) △일본(1조2981억달러) △스위스(9808억달러) △인도(6913억달러) △러시아(6804억달러) △대만(5929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4587억달러) △독일(4564억달러) △홍콩(4310억달러) 등이 한국보다 상위권에 위치했다.
김봉정 기자 space02@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