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정석한 기자]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미분양 아파트 적체 등에 따른 유동성 악화에 회생절차를 신청하는 중소 건설사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의 경영 정상화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정부의 ‘인수ㆍ합병(M&A)’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충재)은 3일 내놓은 ‘건설업 M&A의 최신 동향과 시사점 : 신속한 경영정상화와 지속가능한 성장기반 마련’ 보고서에서 과거 회생절차를 신청한 건설사를 중심으로 M&A 추진현황을 분석하고, 중소 건설사를 대상으로 정부의 M&A 활성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의하면 회생절차 내에서 이뤄지는 M&A는 건설업계의 구조조정과 산업재편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인수기업의 성장동력 확보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업종 내 인수자가 주도하는 M&A는 경영 정상화와 업계 경쟁력 강화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최근 M&A 사례를 분석한 결과, SM그룹이 7개 건설사(신창건설ㆍ동아건설산업ㆍ성우종합건설ㆍ경남기업ㆍ삼환기업ㆍSTX건설ㆍ에이치엔아이엔씨)를, 세운건설이 3개 건설사(금광기업ㆍ남광토건ㆍ극동건설)를 인수하는 등 M&A 시장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회생절차에 들어간 건설사의 M&A는 법원의 감독 아래 진행돼 인수주체ㆍ거래금액ㆍ절차 등 관련 정보가 제공된다. 하지만 중소 건설사의 경우 비상장ㆍ비공개 기업이 많아 자율적인 거래는 활발하지만, 정보 공개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M&A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울러 양수ㆍ양도과정에서도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신고ㆍ인가절차가 마련돼 있긴 하지만, 실제 거래정보가 중개업체를 중심으로 비공개로 운영돼 정부의 정책수립에도 한계가 있다.
이에 건산연은 중소 건설사를 위한 M&A 지원체계를 국토교통부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M&A 지원사업을 벤치마킹해 △온라인 플랫폼 구축 △실사비용 지원 △전문자문 매칭 △M&A 교육ㆍ홍보 프로그램 운영 △정책 간담회와 네트워킹 지원 등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화랑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와 PF 부실, 미수금 증가 등으로 인해 M&A 시장의 위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세제 지원과 인센티브 제공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함께 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정책 패키지 마련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정석한 기자 jobiz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