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다음주로 다가오면서 여야 간 전운이 또다시 고조되는 분위기다. 김민석 국무총리 국회 인준을 놓고 한차례 충돌했던 여야가 17개 부처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청문 정국 2라운드를 앞두고 강대강 대치를 예고하고 있다. 여당은 민생 회복과 경제 성장을 위해 내각을 조속히 구성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야당은 도덕성과 정책 전문성 등에서 각종 의혹을 제기하며 각을 세우고 있다.
후보자들은 벌써부터 각종 의혹에 휩싸여 있다. 도덕성과 자질 논란이 연이어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투기, 아빠 찬스, 논문 표절, 이해 충돌, 스폰서 의혹 등 청문회 단골 메뉴들이 총망라됐다. 대통령실이 인사검증을 철저히 했는지 의문이 들 정도다. 해당 후보자들은 의혹에 대해 해명하지 않으면서 하나같이 “인사청문회 때 소명하겠다”는 말만 되풀이 하고 있다. 막강 여당이 엄호하는 청문회만 넘기고 보자는 심산일 것이다. 그러나 어물쩍 넘어갈 일이 결코 아니다. 야당도 뚜렷한 근거없이 호통만 치며 시간을 허비한다면 국민적 질타를 면할 수 없다.
여당은 앞서 초대 총리 임명부터 힘으로 밀어붙였다. 청문회에선 김민석 후보자 감싸기에 급급했다. 자료도 제대로 제출하지 않았고 소명을 못했음에도 인준안을 통과시켜 야당의 강한 반발을 샀다. 이어질 장관 청문회에서도 같은 행태를 반복한다면 국민들은 고개를 흔들 것이다. 후보자를 지명해 놓고 철회하는 것은 임명권자인 대통령이나 여당으로서는 큰 부담이다. 물론 장관 후보자들은 국회 인준이 필요없기 때문에 이재명 대통령 의지에 따라 얼마든지 임명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업무를 맡기에 부적절한 흠결이 있을 경우엔 거취를 스스로 결단하도록 하는 게 장래 국정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