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韓, 가계빚 증가 속도 ‘세계 2위’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19-01-23 16:37:08   폰트크기 변경      

지난 5년간 GDP 대비 상승률 15%… 中 이어 두 번째

옥스퍼드 이코노믹스 ‘가장 큰 위험 내재된 나라’ 지목

국제금융협회 집계서도 GDP 대비 부채비율 가장 높아

 

 

한국의 가계부채가 규모와 증가 속도에서 모두 주요국 가운데 최고 수준의 위험성을 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1일(현지시간) 옥스퍼드 이코노믹스 분석에 따르면 최근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0%에 근접해 분석 대상 28개국 가운데 3번째로 높았다.

한국보다 이 비율이 높은 국가는 120%를 넘는 호주와 100%가량으로 한국과 비슷한 캐나다뿐이다.

게다가 한국은 이 비율의 최근 상승세가 이들 나라보다 훨씬 가팔랐다. 지난 5년간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5%포인트가량 상승해 중국(18%)에 이어 2번째로 가파르게 올랐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65∼85%를 넘고 이 비율이 5년간 7%포인트 이상 상승한 것을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가장 큰 위험을 안고 있는 나라로 한국과 호주, 캐나다를 꼽았다.

이 연구소의 애덤 슬레이터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가장 위험한 조합이 높은 부채비율과 급격한 부채비율 상승”이라며 “많은 연구 결과가 이를 ‘문턱(threshold)’으로 지목해 왔으며 이를 넘어서면 급격히 GDP 성장이 둔화하거나 금융위기의 리스크가 상당히 증가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부채 리스크 척도에서도 한국은 위험군으로 꼽혔다. 한국은 민간 부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20% 이상이고 민간 부채 가운데 변동금리의 비중도 60%를 훌쩍 넘어 홍콩, 호주, 스웨덴 등과 함께 취약한 것으로 지목됐다.

총부채상환비율(DTI)이 3배를 넘는 채무 가구의 비중도 네덜란드, 호주보다는 낮았지만 20%로 비교적 높다고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지적했다.

한국의 가계 빚에 대한 경고음은 여러 곳에서 들린다.

국제금융협회(IIF)는 지난 15일 ‘글로벌 부채 모니터’ 보고서에서 신흥국 가계부채가 급증했으며 그중 한국과 체코, 인도, 멕시코, 말레이시아, 칠레의 2016년 이후 증가율이 20%를 넘는다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신흥국 가계부채는 12조1000억달러(약 1경3689조원)로 2016년 이후 30% 가까이 증가했다. 역내 GDP 대비 37.5% 수준이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6.9%로 그보다 훨씬 높다. 신흥국은 물론이고 글로벌 평균 59.6%보다도 훨씬 높고, IIF가 국가별 수치를 제시한 34개 선진·신흥국 가운데서도 가장 높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도 전 세계에서 0.3%포인트 상승하는 동안 한국은 2.7%포인트나 뛰었다.

가계부채뿐 아니라 기업 부채 역시 급증세를 보였다. 한국 비금융 기업의 부채는 지난해 3분기 기준 GDP 대비 157.1%로, 1년 만에 1.5%포인트 상승했다. 7.5%포인트 급등한 중국보다는 낮은 상승률이지만, 다른 주요국들과 비교했을 때 상승 폭이 작지 않다.

전 세계적으로 기업 부채는 지난해 3분기 72조9000억달러로 6% 넘게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27조달러 증가해 GDP 대비 92%로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다.

가계·기업·정부 부채가 모두 증가하면서 전체 글로벌 부채는 244조2000억달러로 세계 GDP 대비 318%까지 불어났다. 이는 2016년 3분기 세운 역대 최고 기록인 320%에 약간 못 미치는 수치다.

슬레이터 이코노미스트는 “GDP 대비 글로벌 기업부채 비율은 서서히 상승해 2008년보다 10%포인트 높아졌다”며 “이런 기업 부채 급증은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과 비슷한 규모”라고 분석했다.

 

프로필 이미지
김기봉 기자
test@naver.com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