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美-中 보복전에... 세계 증시 하룻새 1200조원 증발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19-05-14 10:36:15   폰트크기 변경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보복전으로 비화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걷잡을 수 없는 충격에 휩싸였다.

세계 각국 주식시장에서는 각 주가지수가 폭락을 거듭하면서 하룻밤 새 시가총액 1조달러(약 1200조원)가 허공으로 사라져버렸고 금과 미국 국채처럼 안전한 자산에만 돈이 몰리는 극도의 혼란이 야기됐다.

중국은 내달 1일부터 600억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5∼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앞서 미국이 지난 10일 2000억달러어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10%에서 25%로 인상한 것에 대한 보복성 조치다.

13일(현지시간) 글로벌 금융시장의 투자심리는 급격히 위축됐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30% 안팎 상승하면서 20선을 넘어섰다.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617.38포인트(2.38%)나 폭락한 2만5324.99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719포인트까지 밀리기도 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는 69.53포인트(2.41%) 내린 2811.8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69.92포인트(3.41%)나 급락한 7647.02에 각각 마감했다.

다우지수와 S&P지수는 지난 1월3일 이른바 ‘애플 쇼크’ 이후로 4개월여 만에 최대 하락 폭을 기록했다. 나스닥의 낙폭은 지난해 12월4일 이후로 5개월여 만에 가장 컸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국에 대한 중국의 보복관세 부과 발표 이후 기술주 중심으로 각국 주가가 폭락하면서 전 세계 증시의 시가총액 1조달러가 줄었다고 추산했다.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미·중 무역전쟁이 무한정 지속될 수 있다는 고통스럽고도 새로운 현실에 대처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유럽증시도 흔들렸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1.52% 하락한 1만1876.65에,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 지수는 1.22% 내린 5262.57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범유럽지수인 Stoxx 50지수는 1.2% 떨어진 3320.78에 마감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7163.68로 0.55% 내리면서 상대적으로 낙폭이 작았다.

앞서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21% 하락한 2903.71로 거래를 마쳤다. 중국 선전종합지수는 1.08%, 대만 자취안 지수는 1.44% 하락세로 각각 마감했다.

중국이 아시아권 증시의 마감 이후에 대미(對美) 보복관세를 결정했다는 점에서 이튿날(14일) 거래에서도 부정적인 충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경제 1, 2위 국가인 미국과 중국이 ‘무역 전면전’을 강행한다면 글로벌 경기에는 부정적인 파장이 불가피하다는 게 전반적인 인식이다.

상대적으로 탄탄한 경기를 자랑하고 있는 미국도 그 영향권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미국의 중국산 수입품 가격이 전반적으로 인상되고 미국 소비자에게 전가되면서 소비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적했다.

UBS는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25% 관세가 부과된다면 미국 성장률이 0.75~1.00%포인트 하락하고 뉴욕증시는 두 자릿수대 하락률을 나타낼 것으로 분석했다.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인 국채와 금의 투자 매력은 부각됐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금은 전 거래일보다 온스당 1.1%(14.40달러) 상승한 1301.80달러에 거래를 마치면서 1300달러 선을 웃돌았다.

채권시장에서 미국 국채는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채권 가격은 금리와 반대로 움직인다.

벤치마크인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2.424%로 0.031%포인트 하락했다.

초장기물인 30년물 미 국채 금리는 0.033%포인트 내린 2.840%,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미 국채 금리는 0.059%포인트 낮은 2.193%였다.

채권시장에는 무역전쟁발(發) 경기 둔화로 이어지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감돌았다.

이날 10년물 국채 금리는 장중 2.39% 선까지 떨어지면서, 초단기인 3개월짜리 국채 금리를 밑돌았다.

장기채는 자금을 오래 빌려 쓰는 만큼 단기채보다 제시하는 수익률(금리)이 높은 게 통상적이다. 이런 원칙에 역행하는 것은 경기침체를 예고하는 신호로 여겨진다.

 

프로필 이미지
김기봉 기자
test@naver.com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