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관련 예산 2020년 3000억원 편성
대학과 출연(연) 보유 원천기술과 산업계 수요 융합 등 R&D 추진 방식 혁신
연구데이터 플랫폼 구축, 실증 인프라 확충 등 향후 5년간 1700억원 투자
일본 수출규제 등 글로벌 소재전략무기화에 대응해 소재ㆍ부품ㆍ장비 기초ㆍ원천 연구개발(R&D) 예산이 대폭 확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기초ㆍ원천 R&D 분야에 투자규모를 2배로 확대한다고 9일 밝혔다. 투자 효율 제고를 위해 R&D 추진방식 혁신과 부처 간 칸막이를 해소하고, 개방ㆍ공유ㆍ협력의 R&D 인프라 확충 등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관련 예산은 내년에 2배로 확대된다. 올해 약 1600억원 규모의 소재ㆍ부품ㆍ장비 기초ㆍ원천 R&D 투자규모가 내년에는 약 3000억원 규모(정부안)로 책정됐다.
정부는 기초 연구 분야에서 기초연구실 60여개를 지정, 반도체ㆍ디스플레이 등 주력 산업의 핵심소재 기술 자립을 위한 연구 저변 확대와 기초기술 확보를 지원한다.
원천 연구 분야에서는 나노ㆍ미래소재 원천기술 개발사업을 새롭게 추진해 기초연구성과를 사업화로 연결한다. 또 기존 25개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연구단 외에 해외 의존도가 높은 소재의 원천특허 확보와 관련된 연구단을 신규로 3개 추가 선정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재혁신 선도 프로젝트에 내년 326억원을 투입해 대학과 출연(연) 등이 보유한 원천기술과 기업의 수요를 융합하는 소재혁신 플랫폼을 구축한다. 그동안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돼 온 기초ㆍ원천연구와 개발ㆍ사업화 연구의 간극도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방사광 가속기 기반의 반도체 검사용 극자외선(EUV) 광원 및 검사장비 개발에 115억원을 투입하고, 고도의 측정 및 분석을 위한 연구장비의 국산화 기술개발에 73억원의 예산을 편성할 계획이다.
소재ㆍ부품 연구개발 주체 간의 정보 개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올해부터 향후 5년간 약 1700억원이 신규로 투입된다.
연구개발 과정에서 개별 연구자들이 축적한 다양한 연구데이터를 수집ㆍ공유ㆍ활용하는 소재연구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에 5년간 450억원을 투입한다.
아울러 반도체 소재ㆍ부품 연구자와 중소기업 등이 실제 반도체 공정과 유사한 환경에서 연구결과와 시제품을 실증할 수 있도록 반도체 공공 테스트베드 구축에 내년부터 2022년까지 450억원을 지원한다.
또한 시스템 반도체 설계 중소기업(팹리스) 지원을 위한 멀티프로젝트웨이퍼 공정 지원체계 마련에 내년부터 2022년까지 450억원을 투입한다.
안종호기자 jho@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