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마음의 창] 여자는 천 원, 남자는 만 원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3-01-19 07:58:49   폰트크기 변경      

나는 보수적이고 가부장적인 집안에서 성장했다. 아버지는 아버지 본가의 제사나 명절, 행사 때마다 우리를 데리고 다녔다. 등교는 중요하지 않았고 우리에게 거부할 자격은 없었다. 운전은 아버지가 했지만, 고생하는 건 여자들이었다. 엄마는 집으로 돌아갈 때까지 부엌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숙모들도 마찬가지였다. 남자 어른들은 텔레비전을 보거나 대낮부터 술을 마셨다. 그런 풍경이 너무나 일반적이었던 80년대였다.

딸만 셋을 둔 아버지는 삼촌들의 아들을 사랑했다. 당신 자식한테는 보여준 적 없었던 사랑과 신뢰의 눈빛으로 그 애들을 바라보았다. 쉬지 않고 음식을 하면서도 엄마는 기가 죽었다. 쓸모없는 나는 눈치만 보았다. 부지런히 심부름하던 언니가 나를 불러 오락실에 데리고 갔다. 우리는 보블보블 오락을 하면서 괴물로부터 서로를 지켰다.

차례를 지낸 후 우리 항렬의 사촌들이 주르륵 섰다. 세배를 시작하면 어른들은 지갑을 꺼냈다. 중학생이었던 언니는 천 원, 초등학생이었던 나는 천 원, 미취학이었던 여동생은 천 원, 다른 집 여자 사촌들도 천 원을 받았다. 미취학이었던 내 여동생보다 어렸던 남자 사촌들은 전부 만 원. 이제 막 걷기 시작한 애도 만 원. 남자라서 만 원.

나는 이상하게 그때의 일이 잊히지 않는다. 부당하다는 느낌을 처음 받아본 것 같다. 그 후로 할머니 집에 가는 게 싫어졌다. 아픈 척도 하고 떼를 쓰기도 했다. 의외로 아버지는 강요하지 않았다. 그 이유 역시 딸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제는 제사나 명절에서 완벽히 자유로운 몸이 되었지만, 세뱃돈 차별의 기억은 약간의 흉터로 남아있다.

시대가 변하면서 세뱃돈의 액수와 유형도 변했다. 오만 원권 지폐가 생기면서 만 원짜리 지폐는 약소해졌다. 현금 찾는 일이 번거롭기도 해서 계좌이체를 하거나 모바일 카드를 선물하기도 한다. 절이라는 게 익숙하지는 않아서 세배를 하는 입장도 받는 입장도 약간은 어색하다. 그러나 그 문화만은 사라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세배를 받을 때마다 어른이라는 자각을 할 수 있기를, 존경 받는 어른이 되기를 바란다.

이은정 (소설가)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