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최지희 기자] 지난 40여년의 공직 생활 중 대부분을 철도 관련 부서에서 근무한 ‘철도통’ 임종일 부이사장(사진)은 국가철도공단에 부임한 이후 직원들에 늘 ‘혁신’을 강조한다. 규제 강화보다는 건설사가 현장에서 자기 일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발주처의 책임이란 뜻이다. 적정 공사비와 공기를 보장하면, 공사 하자와 사고를 없앨 수 있다는 임 부이사장의 혁신 의지는 현재 공단 계약제도 전반의 규제 개선으로 이어지는 중이다. 〈대한경제〉가 부임 10개월째를 맞이한 임종일 부이사장을 만났다.
공단이 최초로 기술형입찰에서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을 단행했다. 도입 배경이 있다면.
건설자재 가격 급등 이후 건설사의 입찰 포기가 반복되자 공사 지연을 예방하고자 규제 개선을 결정했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 재정구간(4개 공구) 2072억원, 남부내륙 철도(2개 공구) 1100억원 등 총 3172억원 규모의 물가 상승분을 반영했다. 올해 공고된 수서~광주 및 광주 송정~순천 철도건설사업에도 발주 전 물가변동 반영을 완료했고, 앞으로 추진될 사업에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할 방침이다. 낙찰률을 감안하면 총사업비에서 10%는 남는 거다. 이 10%를 공사품질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것은 발주처의 재량이니만큼, 기획재정부를 설득하는 적극 행정을 선보여야 한다.
2021년부터 운영해온 계약제도 혁신TF에 대한 평가와 앞으로의 과제는.
올해까지 총 168건의 계약제도 개선을 완료했다. 그중 종합심사낙찰제 평가 시 건설안전분야 평가 배점을 당초 0.6점에서 1.0점으로 확대했고, PQ에서 지역업체를 구성사로 미포함 시 10% 감점을 적용하는 등 지역 중소업체의 사업 참여기회를 확대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기술형입찰에서 기술력 변별을 위한 철도공단의 지침이 있다면.
부임 이후 영업이 아닌 기술력을 바탕으로 건설사를 선별하려 노력해왔다. 이를 위해 신규 진입한 건설사에도 동등한 기회를 주려 한다. 또 심의 전 과정을 생중계하고, 평가 결과도 실명으로 전면 공개하는 중이다. 심의위원에 대한 1대1 밀착 감찰도 이뤄진다.
해외 철도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지난 6월 국내 최초로 한국 고속철도 기술이 유럽 폴란드로 수출됐다. 앞으로도 250조원 규모의 해외 철도시장에서 수주 기회를 선점하고자 철도공단이 국내 건설사들의 수주 지원을 담당할 계획이다.
인천 검단 붕괴사고 이후 공단 내부에도 긴장감이 있나.우리가 발주한 사업에 대해서는 공단 직원이 최고 전문가여야 한다는 생각이다. 특히 발주처 설계실의 역량이 중요하다. 설계검토를 더욱 꼼꼼하게 할 것을 주문했고 수시로 설계실을 방문하고 있다. 모두 긴장해야 한다.
최지희 기자 jh6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