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한 총리 만나 “방한 진지하게 검토”
“가까운 이웃이자 협력 동반자”...관계 개선 의지
![]() |
제19회 아시안게임 개막식 참석을 위해 중국을 방문한 한덕수 국무총리가 지난 23일 오후(현지시간) 중국 항저우 저장성 항저우 시후 국빈관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대한경제=조성아 기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덕수 국무총리를 만나 “방한을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언급하면서, 한중 관계 개선 및 한중일 정상회의 성사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다. 항저우 아시안게임 참석차 중국을 방문한 한 총리는 지난 23일 항저우 시내에서 시 주석과 양자면담을 갖고 시 주석의 방한 문제 외에도 한중관계 및 한반도 문제, 경제 협력 등 다양한 의제를 두고 대화를 나눴다.
한 총리는 시 주석과 만나 양국 관계에 대해 “상호 존중, 호혜 및 공동 이익에 따라 건강하고 성숙한 한중 관계로 발전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특히 한중일 정상회의는 핵심 논의 사항이었다. 한 총리는 올해 한국이 의장국으로 추진하는 한중일 정상회의에 대해 설명했고, 시 주석은 3국 정상회의 개최를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며 “적절한 시기에 잘 개최되었으면 좋겠다”고 답했다고 한다.
또 시 주석은 “방한 문제를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먼저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방한 문제는 양자 회담 후 브리핑에서 우리가 거론하기 전에 시 주석이 먼저 언급했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4년 7월 국빈 방한 이후 한국을 찾지 않았다. 앞서 지난해 11월 윤석열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가 열린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시 주석과 첫 정상회담을 갖고 방한을 요청한 바 있다.
한 총리와 시 주석의 면담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7일 한-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차 방문한 인도네시아에서 리창 총리와 회담을 가진지 16일 만에 이뤄진 한중 고위급 교류다.
이 자리에서 시 주석이 방한을 직접 언급하면서 한중일 정상회의 가능성이 무르익는 분위기다. 윤 대통령과 리 총리와의 만남에서도 양국은 한중일 정상회의 연내 추진 및 양국 관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한 바 있다.
중국 관영통신 신화사에 따르면 시 주석은 면담 자리에서 “중한 관계는 이사 갈 수 없는 가까운 이웃이자 떼려야 뗄 수 없는 협력 동반자”라고 칭하며,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시대에 맞춰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중한 경제는 밀접하고 산업망과 공급망이 깊이 융합돼 양국이 상호 이익 협력을 심화해야 계속 성과를 낼 수 있다”며 “중국과 한국은 다자주의와 글로벌 자유무역 시스템을 수호하고 소통과 조율을 강화해 국제질서를 보다 공정하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제·안보 분야에 있어서 한중 관계 개선은 양국 모두에게 필요하다. 무엇보다 “양국 간 경제협력이 한중관계 발전의 중요한 동력이라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실제로 양측은 산업협력과 안정적인 공급망 관리,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후속협상은 물론, 문화 및 인적 교류 증진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시 주석은 최근 한국이 미국·일본과 급속도로 가까워지고 있는 것을 의식한듯 “한국이 중국과 함께 중한 관계를 중시하고 발전시키겠다는 것을 정책과 행동에 반영하고, 서로를 존중하며 우호 협력의 큰 방향을 유지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최근의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서도 “중국 측이 건설적 역할을 계속해달라”고 요청했다. 시 주석은 이에 “중국은 한반도의 남북 양측의 화해와 협력을 일관되게 지지한다”며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 중국도 계속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최근 한미일 공조가 강화되면서 한중일 관계 및 대중 외교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런 가운데 시 주석의 방한이 성사된다면 소원해진 대중 관계 개선의 돌파구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박승찬 용인대 중국학과 교수는 <대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한미일 관계가 가까워지면서 중국 입장에서도 한국과의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을 것”이라면서 “북한 문제, 경제 협력 등 세부 어젠다 조율이 필요하겠으나, 시 주석의 방한이 성사된다면 윤 정부 외교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성아 기자 jsa@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