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국사학과 장대길 |
그러나 이와 반대로 인문학계는 이른바 ‘인문학의 위기’를 맞이하였다.
많은 전문가들이 인문학의 위기에 대해 입을 모으고 있으며 그 위험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특히 역사를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역사박물관’은 많은 시민에게 외면당하는 안타까운 상황이다.
앞으로 새롭게 만들어질 (가칭)포천시립박물관은 이러한 시민들의 외면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유물의 수집·보존 영역에 그치는 유물 수장고형 박물관이 아니라 지역의 유산을 보호하고 지역사회의 문제를 함께 풀어나가는 사회적 교육 기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박물관이 되어야 한다. 지역사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은 전시와 교육, 연구를 비롯하여 다양한 사회화를 이룰 수 있는 기관으로 성장해야 한다.
‘지역’은 하나의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생활 공간이자 독자적이고 탄력적인 특질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우리 ‘포천’ 지역만의 독특한 유물과 흥미로운 주제로 전시를 기획해야 관람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 지역사 자료를 수집, 연구할 뿐만 아니라 포천 스스로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어떻게 보여줄 것인지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답을 찾아야 한다.
또한, 전시 의도와 주제가 반영된 유물과 그것을 설명하는 전시 연계 교육프로그램 및 강의, 학술대회, 특별 행사 등 현장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역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시와 교육이 함께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포천시립박물관은 단순 전시 공간이 아니라 사회적 쌍방 소통이 가능한 교육 기능을 담당하는 사회화 기관으로서 발전할 것이다.
우리 포천은 한반도 중심의 전략적 요충지로 내력이 깊은 도시다. 역사와 문화가 다양해 보존·연구할 내용도 많이 있다.
포천시립박물관이 건립되면 역사 교과서에 주목받지 않았던 우리 지역사를 재고찰하며, 미시적으로 접근하여 생동감 있는 역사를 전달하고 이를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야 한다.
포천시립박물관이 지역 문화의 중심에 자리 잡아 지역박물관의 활성화를 이루고 지역의 문화예술·관광·자연 등을 박물관에 접목하여 시대에 맞게 변화해 나갈 수 있는 박물관의 유연성도 필요할 것이다.
더 나아가 지역박물관의 선한 영향력이 포천 각지에 있는 문화유산에 활력을 불어넣어 더 많은 시민이 우리 포천시사에 관심을 갖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
그러면서 역동적인 사회 속에 포천시립박물관은 역사성과 현재성을 두루 갖춘 주체적이고 다른 지역과 차별적인 지역박물관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