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건설기술인 100만명 시대] (2)국내 최대 직능단체 도약한 건설기술인協…‘외부내빈’ 해결이 관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4-05-08 06:40:17   폰트크기 변경      
건설기술인 100만명 시대…의미와 과제는

[대한경제=정석한 기자] 건설현장에서 묵묵히 활동하면서 한국경제 성장의 든든한 발판 역할을 해 온 ‘건설기술인’ 수가 100만명을 돌파했다. 통계청 기준 올 현재 대한민국 인구수(중위추계)가 5175만명 정도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산술적으로 대략 50명 중의 1명은 건설산업에 몸담고 있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대규모다.

그러나 심화하고 있는 ‘외부내빈(外富內貧)’ 현상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로 지적된다. 100만명을 넘어서는 화려한 성장세와 달리, 최근 각종 붕괴사고 등으로 인해 건설산업과 건설기술인의 이미지는 끝없이 추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산업 미래를 이끌어갈 젊은 건설기술인 유입이 갈수록 적어지는 것도 이런 탓이다.

/건축ㆍ토목 70만명 넘어서…100만명 회원수 견인차

6일 한국건설기술인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11일을 기점으로 회원수 100만97명을 기록했다.

협회 회원수는 1987년 최초 창립되었을 때만 해도 200명 정도에 불과했다. 그러나 매년 꾸준히 늘어나 1994년 3만명, 2004년 52만3386명, 2014년 69만5221명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드디어 100만이라는 고지를 점령했다. <도표 참조>

구체적으로 현재 회원수는 △건축 38만235명 △토목 32만9073명 △기계 10만3364명 △안전관리 4만8163명 △조경 4만6643명 △환경 2만8320명 △전기ㆍ전자 1만9125명 △도시ㆍ교통 1만2643명 등이다.

이 같은 성장세의 배경에는 건설산업 양대 산맥인 건축ㆍ토목 분야 건설기술인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사실이 기여했다. 실제로 두 분야의 회원수는 70만명을 돌파하면서 전체의 70.9%를 차지한다.

아울러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등 영향으로 건설현장을 콘트롤하는 안전관리 분야 건설기술인도 늘고 있다. 작년에는 3만334명이었지만, 올해는 4만명을 넘어섰다.

건설사들이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ESG 경영을 확대하면서 환경 분야 건설기술인도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에는 1만9874명이었지만, 올해는 3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협회 관계자는 “전통적인 건축ㆍ토목 분야 외에 안전관리, 환경, 조경, 건설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건설기술인 수가 늘고 있다는 점은 대한민국 건설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붕괴사고로 이미지 악화, 건설기술인 처우 부실 등 부각

협회 등록된 회원수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통계와 달리, 건설기술인을 둘러싼 환경은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이른 바 ‘외부내빈’ 추세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 배경은 최근 몇년 사이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부실시공 문제가 크다. 2022년 1월 광주 화정동 주상복합 붕괴사고부터 2023년 4월 인천 검단신도시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등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사고들이 발생하면서 건설산업과 건설기술인 이미지는 추락하고 있다.

건설기술인의 저임금 및 열악한 처우도 원인이다. 협회를 구심점으로 운영하고 있는 E&E포럼이 작년 진행한 설문조사(건설엔지니어링사 471곳, 건설기술인 3496명 참여)에서 참여자의 81%가 임금 등 처우가 부실하다고 응답했다. 복지 등 처우 개선(56%), 근로시간 등 근로환경 개선(19%) 등도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런 문제는 젊은 건설기술인의 외면을 불러온다. 협회 통계에 의하면 지난해 말 기준 20∼30대 건설기술인 비중은 15만4596명(20대 3만6857명, 30대 11만7739명)으로 전체의 16%에 그친다. 2004년 20∼30대 비중이 63.8%에 달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급격하게 줄어든 것이다.

즉 협회 회원수가 늘어나고 있지만, 오히려 젊은 층의 비중은 줄어드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협회는 ‘워라밸(Work-Life Balance)’을 올해 사업목표 중의 하나로 꼽았다.

3D 산업으로 고착화된 건설산업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ITㆍ금융산업으로 빼앗기고 있는 젊은 인재들의 영입을 위해서다. 이를 위해 적절한 근로시간, 임금 현실화, 근무환경 개선 등이 바탕이 된 워라밸 지수를 개발하고, 워라밸 인센티브제 도입을 추진해 우수기업과 발주기관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정석한 기자 jobiz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경제부
정석한 기자
jobize@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