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이종무 기자] 서울 아파트 값이 이번 주 다시 고개를 들었다. 정부가 ‘8ㆍ8 부동산 공급대책’을 발표한 지 한 달째를 넘긴 가운데 강화한 대출 규제가 지난 주 본격 시행됐지만 4주 만에 상승 폭을 확대한 것이다. 일각에선 8ㆍ8 대책 이후 부동산 시장이 진정되고 있다는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의 진단이 머쓱하게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 |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사진:한국부동산원 제공 |
1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둘째 주(지난 9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3% 오르며 25주째 연속 올랐다. 오름세가 최근 3주간 둔화했다가 다시 커졌다. 실제 서울 아파트 값은 올해 3월 넷째 주(0.01%)부터 꾸준히 오르면서 ‘불장’이었다. 8월 둘째 주(0.32%) 5년 11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찍었다. 이어 셋째 주 0.28%, 넷째 주 0.26%, 이달 첫째 주 0.21%로 최근 3주 연속 오름 폭이 줄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4주 만에 보폭을 넓힌 데는 강남3구(강남ㆍ서초ㆍ송파구), 마용성(마포ㆍ용산ㆍ성동구) 등 주요 지역 일부 재건축, 신축 단지 중심으로 신고가 계약이 잇달아 체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 지역별로 서초구(0.44%), 성동구(0.41%), 송파구(0.35%), 용산구(0.34%), 광진구(0.34%), 강남구(0.31%), 마포구(0.29%), 영등포구(0.25%) 등이 서울 평균 상승 폭을 웃돌았다.
인천(0.13%→0.1%) 오름 폭이 낮아진 가운데 경기(0.1%→0.13%)는 오름세를 유지하며 수도권(0.14%→0.15%) 상승 폭도 커졌다. 반면 지방은(-0.01%)은 전주(-0.02%)와 비교해 낙폭이 줄었지만 하락세가 여전했다. 5대 광역시가 0.02% 하락한 가운데 세종은 0.09%나 떨어졌다. 8개도는 보합(0%) 전환했다. 이로써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0.07% 올라 전주(0.06%)보다 상승 폭이 소폭 높아졌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최근 대출 환경 변화와 가격 급등 피로감으로 매물 소진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면서도 “일부 재건축 단지와 신축 선호 단지 중심으로 신고가 계약이 체결되면서 전체 상승 폭이 소폭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 |
지난 8일 서울 용산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 |
전문가들은 부동산 대책과 강화한 대출 규제가 조금씩 시장에 반영되면서 매맷값이 다소 조정될 수 있지만, 주택 공급난을 일거에 해소하기엔 대책이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어서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규제 시행에도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 값 상승 기조가 당분간 계속될 것이란 분석이다.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한국부동산경영학회 회장)는 “당분간 아파트 공급이 감소하고 재개발ㆍ재건축도 공사비 등 건설 단가 급등으로 지금보다 싼 가격에 공급하기 어렵다”면서 “특히 금리가 지금보다 높아지지 않을 것이란 관측에 상승 여력이 남아 있다는 점에서 가격이 계속 우상향할 것이란 기대감이 수요를 자극하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진단했다.
일부에선 박 장관이 지난 9일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정부의 공급대책 발표 때문인지, 7∼8월 계절적 비수기 영향인지 속단하기 어렵지만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한 것과 관련, 시기상조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제기된다. 하지만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시장에서 ‘불안하다’, ‘급등한다’란 평가나 표현은 없었으니 정부 입장에선 그렇게 받아들일 수도 있다”고 반박했다.
한편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도 3주 만에 오름 폭(0.15%→0.17%)을 키웠다. 지방은 보합(0%)을 유지했다.
이종무 기자 jmle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