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감찰관 임명 여부를 둘러싼 국민의힘 친윤-친한 갈등이 전면전으로 치닫는 느낌이다. 한동훈 대표는 26일 박정희 전 대통령 45주기 추도식에 참석해 ‘변화와 쇄신’을 강조했고, 추경호 원내대표는 ‘단결과 통합’에 방점을 찍었다.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집권 여당 투톱이 정반대 해법을 제시한 것이다. 김건희 여사 문제로 촉발된 민심 이반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집안 싸움이 볼썽사납다.
한 대표는 김 여사의 대외활동 중단, 인적쇄신, 의혹 해소 협조 등 ‘3대 요구’가 거부되자 김 여사를 감시ㆍ규제할 특별감찰관 임명 카드를 제시했다. 대통령실과 친윤계는 북한 인권재단 이사 임명과 연계해야 한다는 입장이나 ‘대선 공약’이란 점에서 설득력이 떨어진다. 지금은 대통령 지지율이 역대 최저인 20%로 주저앉을 정도로 민심 이반은 심각하다. 오죽하면 지지기반인 TKㆍPK마저 등을 돌리는지 곱씹어야 할 것이다.
이런데도 친윤계는 ‘특별감찰관 추천 문제는 원내 사안’이라거나 ‘당헌ㆍ당규 어디에도 당 대표가 원내대표를 지휘할 권한이 없다’며 한 대표를 겨냥했다. 한심한 발상이다. 추 원내대표는 국정감사를 마친 후 의원총회를 열어 표대결도 불사할 태세다. 하지만 분당으로 가는 시발점이란 점에서 위험천만하다. 윤 대통령이 결단을 내려야 한다. 김 여사 ‘블랙홀’이 지속된다면 후반기 원활한 국정운영을 기대하기 힘들다. ‘돌 던져도 맞고 갈’ 상황이 아니다.
한 대표도 고도의 정치력을 발휘해야 마땅하다. ‘여당 내 야당’을 내세우나 대통령을 직접 공박하는 모습은 ‘자기 정치’를 한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 측근들을 불러 모으는 세 불리기 모습도 마찬가지다. 특별감찰관 추천은 국회 몫인 만큼 민주당과 협의 절차가 먼저다. 추 원내대표 등과도 충분한 소통으로 당내 의견을 수렴하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이는 원외 여부를 떠나 당 대표로서 책무다.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