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인적쇄신·김여사 활동 중단 등 요구…尹 입장 표명 수위 관심
野 ‘김여사 특검법’ 공세 강화 전망…與 이탈표 변수
![]() |
윤석열 대통령이 6일 강원도 춘천 송암스포츠타운 실내테니스장에서 열린 ‘2회 지방자치·균형발전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있다./사진:연합뉴스 |
[대한경제=조성아 기자] 명태균씨와 윤석열 대통령의 통화 녹취록 파문 등 ‘김건희 여사 공천개입 의혹’이 계속되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10시 대국민 담화와 기자회견을 연다. 오는 10일 임기 반환점 앞두고 최근 10%대까지 지지율이 내려앉을 만큼 여론이 악화된 상황에 윤 대통령의 이날 담화는 집권 후반기 당정관계는 물론 국정운영 동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결정짓는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윤 대통령이 지난 4일 밤 전격적으로 대국민 담화와 기자회견을 열겠다고 발표하면서 여권은 술렁이는 분위기다. 최근 친한계는 물론 친윤계 일각에서도 대통령실을 향해 쇄신 필요성을 요구한 것에 대통령실이 ‘응답’한 것 자체는 의미 있는 일이라는 평이다. 그러나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과연 어느 정도 수위의 입장 표명을 할지에 대해선 당내에서도 여전히 부정적 견해도 적지 않다.
대통령실은 담화문은 가급적 줄이고 이어지는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을 무제한으로 받는 ‘끝장 회견’을 하겠다고 예고했다. 지난 8월 국정브리핑 때는 약 41분간 국정운영 성과를 설명하면서 ‘홍보’에 치중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당시처럼 대통령이 집무실에서 담화문을 읽은 뒤 기자회견장으로 내려오는 방식 대신 기자회견장에서 담화문을 읽고 곧바로 일문일답을 진행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의 이번 대국민 담화와 기자회견은 향후 정국의 분수령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한 대표가 앞서 대통령실 및 내각 인적 쇄신과 함께 김 여사의 외부 활동 중단, 특별감찰관 임명 등을 요구한 만큼 이에 어떤 입장을 밝힐지 관건이다. 대국민 담화와 기자회견 일정을 발표하기 직전 추경호 원내대표와 만나면서 이번에도 한동훈 대표 ‘패싱’ 논란을 일으킨 만큼, 대통령이 납득할 만한 설명을 내놓지 않을 경우 악화된 ‘당정 관계’의 원인을 대통령 책임으로 보는 여론 또한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윤 대통령이 기대에 미치지 않는 해명을 내놓는다면 친한계를 중심으로 대통령실을 향한 쇄신 요구도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는 6일 3선 이상 당 중진 의원들과 연달아 회동을 가지고 의견을 수렴했다. 대통령 기자회견을 기점으로 당의 상황도 새로운 국면에 들어설 것으로 예상돼 향후 대응 방향 마련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윤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김건희 여사 특검법’ 수용 입장을 밝혀야 한다며 거세게 압박했다. 민주당은 6일 최고위원회에서 김 여사 특검법 수용과 함께 ‘윤석열-김건희·명태균 게이트’ 직접 해명과 대국민 사과, 전쟁 책동 중단 등을 3대 요구안으로 정했다.
민주당은 대통령의 ‘김 여사 특검 수용’이라는 이변이 일어나지 않는 한 대통령 담화와는 상관없이 예정대로 김 여사 특검을 추진할 방침이다. 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소위에서 의결된 특검법은 오는 8일 법사위 전체회의를 거쳐 14일 본회의에서 처리될 예정이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 담화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여당 내 추가 이탈표가 나올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보고 있다. 지난 특검법 재표결에서는 이탈표 4표가 나온 바 있다. 민주당은 세 번째 특검법 역시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재표결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는 28일까지 총공세를 이어갈 방침이다.
조성아 기자 jsa@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