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일산 재건축 발목 잡히나…주민들 ‘한숨’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4-11-12 17:16:51   폰트크기 변경      
[신규택지 대곡지구 가보니]

[대한경제=이종무 기자] 이달 말 재건축 선도지구 발표를 기다리는 일산 신도시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일산보다 서울과 가까운 3기 신도시 창릉지구 개발에 이어, 더 우수한 입지의 대곡지구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ㆍGB) 해제가 발표되면서다.


인근에서 폭증하는 신규 택지 지구 물량 탓에 1기 신도시 일산의 재건축이 발목을 잡힐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는 것이다. 1기 신도시에서도 경기 성남 분당 등에 비해 가격 오름 폭이 낮아 불만이 높은 상황인데, 신규 택지 개발 계획이 잇따르면서 불안감이 높다.


정부의 신규 택지 개발 계획 발표로 9400가구가 들어설 예정인 경기 고양 대곡지구 일대. /사진:이종무 기자


1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GB 해제 대상지인 경기 고양 대곡지구 9400가구 첫 분양 시기는 오는 2029년이다.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착공ㆍ분양 목표가 2027년인 만큼 후속 지구 재건축 사업 분양과 시기가 맞물릴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일반 수요자로선 재건축 단지의 새 아파트보다 입지가 우수한 창릉ㆍ대곡지구로 몰릴 가능성도 낮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고양 일산서구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 A 씨는 “재건축 사업은 빨라도 7~8년이 소요되는데, 선도지구 물량이 먼저 나오면 수요가 분산될 수밖에 없다”면서 “재건축 기대감으로 상승한 집값이 조정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선도지구 신규 주택이 재건축 아파트의 확실한 대체재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고양 덕양구의 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 B 씨는 “재건축을 기다리느니 차라리 새로운 인프라가 갖춰진 입지에 새 아파트를 선택하는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고양에선 장항과 탄현지구도 조성에 속도를 내는 상황이다. 장항지구는 고양 일산동구 장항동과 일산서구 대화동 일대 약 156만㎡에 1만1857가구를, 탄현지구는 약 42만㎡에 2620가구를 공급하는 계획이다. 이미 고양 창릉지구는 고양 덕양구 일대 789만㎡에 3만8073가구 규모로 조성 중이다. 계획 인구만 9만1372명에 달한다. 내년 상반기 약 1800가구가 먼저 풀리고 2029년까지 나머지 물량도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대곡지구를 포함한 주택지구 4곳에 들어서는 주택만 6만1950가구 규모다. 1990년대 일산 신도시가 최초로 조성될 때 계획된 인구가 6만9000가구였던 점을 고려하면 상당한 물량이다. 특히 대곡지구도 향후 사업성 확보를 위해 현재 20%인 주거 기능 비중을 높일 수밖에 없다면, 고양은 서울의 베드타운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된다.

이미 일산의 경우 연립주택 재건축 기준 용적률(170%)이 경기 성남 분당 신도시(250%)보다 낮은 상황에서, 인근 신규 택지 개발은 사업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이다. 한 정비업계 관계자는 “용적률이 낮으면 재건축 후 늘어나는 가구 수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사업성이 떨어지면 조합원 분담금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일산 한 재건축 조합 관계자는 “신규 택지 개발이 재건축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면서 “정부와 고양시가 기존 주민의 재산권도 고려한 균형 잡힌 정책을 펼쳐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고양 일산서구 한 주민은 “재건축을 기다려왔는데 허상이 될까 걱정”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반면 일각에서는 이러한 우려가 과도하다는 의견도 있다. 대곡지구가 서울 서리풀지구처럼 장기 전세 등 임대주택 비중이 높을 수 있어서다.

신규 택지 개발과 재건축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는 고양의 개발 계획에 균형 잡힌 발전을 위한 세심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부동산 전문가는 “신규 택지 개발과 재건축 사업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예를 들어 재건축 용적률 상향이나 인센티브 제공 등을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 다른 도시계획 전문가는 ““결국 고양의 미래는 신구 주거 단지의 조화로운 발전에 달려 있다”면서 “두 가지 개발 방향이 상충하지 않고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핵심 과제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종무 기자 jmle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프로필 이미지
부동산부
이종무 기자
jmlee@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