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지구는 주민대책위 구성…2지구는 GB해제 수용불가
조기 보상ㆍ조기 착수 계획 차질 빚을 듯
정부가 발표한 수도권 신규택지 후보지 4곳 중 한 곳인 서울 서초구 서리풀지구에서 1지구와 2지구 간 온도 차가 극명하게 대비되고 있다.
서리풀 1지구 주민들은 최근 총주민대책위원회 창립총회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사진 / 박노일 기자 |
1지구(서울 서초구 신원동, 원지동 일원) 주민ㆍ토지주들은 지난주 서울서리풀1지구 총주민대책위원회 창립총회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이들은 합리적인 토지보상 등을 강조하고 있다.
서울 서초구 우면동 서리풀 2지구에 포함된 송동마을 자연취락지구 모습. 사진 / 박노일 기자 |
반면, 2지구(서울 서초구 우면동 일원) 주민ㆍ토지주들은 “그린벨트(GB) 해제지역에서 제외해달라”며 개발계획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송동마을 곳곳에는 현재‘평화롭게 살던 마을주민 어디로 쫓아낸단 말이냐?’ 등의 문구 가 담긴 현수막이 걸려 있다.
서울 서리풀2지구 송동마을 모습. 사진 / 박노일기자 |
이에 따라 LH가 추진 중인 그린벨트 해제지역의 조기 보상, 조기 착수 계획도 차질이 예상된다.
이에 앞서 이한준 LH 사장은 최근 서리풀지구 등 수도권 신규 택지 후보지 4곳에 대해 “토지보상 인력을 선제적으로 투입하고 보상절차를 단축하기 위해 로봇을 활용한 등기부등본 등 서류 지급, 드론·모바일 기기를 통한 영상 촬영 및 AI 분석 등 노력을 하고 있다”며 “신도시로 지정하면 착공까지 7~8년이 걸렸지만, 보상 착수를 더 앞당기겠다. 문화재 조사 문제만 아니라면 정부가 언급한 기간 내 택지 공급이 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다.
2지구에 포함된 송동마을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는 4일 “서리풀지구에 실제 합법적으로 거주하는 사람은 송동마을(2지구), 식유촌(2지구), 새정이마을(1지구) 주민뿐”이라며 “이들 세 마을 주민들은 멀쩡하게 살고 있던 거주지에 대한 수용계획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1972년 갑작스러운 개발제한구역 지정으로 현재까지 사유재산권행사가 제한받았으며, 지난 1982년에는 일방적인 집단취락지구 조성으로 강제 구획정리를 당했다”며 “2009년 이명박 정부의 보금자리주택 건설 시에도 주민의 인근토지를 강제 수용당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50여 년 넘는 기간에 공익을 위해 국민의 기본권을 일방적으로 침해받은 주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개발계획을 철회해야 한다”며 “서울 서초구청과 서울시의회, 서울시에도 적극적으로 주민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리풀지구의 자문을 맡은 법무법인 JP 관계자는 “2지구 주민들은 입지 좋은 곳에 계속 살고 싶어하며, ‘터전을 통째로 빼앗기고 헐값에 보상받아 쫓겨나는 것을 상상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2지구의 경우 그린벨트로 묶여 주거환경이 좋은 데다 전원주택처럼 집을 잘 지어놓고 사는 주민이 많은 상황”이라며 “굳이 사업면적도 그리 크지 않는 지역을 GB해제로 묶은 정부 방침에 반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서리풀1지구는 훼손된 그린벨트가 많고 오랫동안 묶여 있는 데다 지가도 현실화되지 않다 보니 보상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이라고 1지구와 2지구의 주민 간 견해차가 크다고 말했다.
그는 또 “규모도 2지구는 1지구에 비해 1/10 수준에 불과하다”며 “2지구 주민들은 우선 지구지정 고시가 나기 전까지 수용 반대의견을 서울시와 국토교통부 등에 적극적으로 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노일 기자 royal@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