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각 사 |
글로벌 교역 위축과 수요 부진으로 한국 경제가 1%대 초저성장이 전망되는 가운데, 주요 기업 수장들은 일제히 ‘기술 혁신’과 ‘위기 극복’을 강조하며 생존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2일 삼성전자는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를 추모하며 별도 시무식 없이 한종희ㆍ전영현 부회장 공명 신년사를 통해 ‘초격차 기술 리더십’을 강조했다. 이들은 “미래 기술력 확보에 생존이 달렸다”고 덧붙였다.
SK하이닉스 곽노정 사장은 ‘르네상스’ 여정을 이어가겠다는 포부와 함께, “경쟁력의 원천인 기술 혁신에 더욱 집중하고, 최고 품질과 성능을 갖춘 혁신 제품을 적기에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 전사의 모든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했다. 삼성SDI 최주선 사장 역시 세상을 바꿀 기술력 확보를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한화, 한진, 효성그룹의 재계 총수들은 위기에도 흔들림 없는 실행력으로 미래를 만들자고 주문했다. 그룹 주력사업으로 방산, 해양, 금융, 기계 등을 이끌고 있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우리를 쓰러뜨리지 못하는 지금의 위기는 더 강한 한화를 만들 뿐”이라고 역설했다.
‘메가캐리어’(통합항공사)에 시동을 거는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현실에 안주하는 순간 글로벌 격차는 순식간에 더 벌어질 것”이라며 “환골탈태 수준의 변화가 동반돼야 한다”고 했다.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은 이날 마포구 효성 본사에서 시무식을 갖고 “장기화된 전쟁은 불확실성을 극대화하고 있고, 날로 강화되는 무역장벽은 글로벌시장을 얼어붙게 만들고 있다”면서 “온 힘을 모아 지금의 위기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각 사업부문에 ‘컨틴전시플랜’(위기대응계획)을 주문했다.
장인화 포스코 회장은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E&C(엔지니어링·건설)를 비롯한 그룹의 주력 사업들이 생존을 고민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음을 냉정히 인식해야 한다”면서 “산업의 변화에 부합하고 그룹의 새로운 성장을 견인할 미래 소재 기반의 신사업을 면밀히 검토해 추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어두운 터널을 지나고 있는 디스플레이, 배터리, 부품, 석유화학업계 CEO들은 올해를 사업확대의 대전환기로 만들겠단 각오를 다졌다. 전기차 캐즘(Chasmㆍ일시적 수요 정체) 장기화에 직면한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CEO는 “(지난해 실적 부진은)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근본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했던 탓도 크다”면서 제품력과 원가경쟁력을 갖출 것을 주문했다.
박상규 SK이노베이션 사장은 “SK E&S와의 합병을 통해 균형 잡힌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며 에너지사업 선도 의지를 밝혔다. 정철동 LG디스플레이 사장은 임직원들에게 “자신의 분야에서는 자타공인 ‘최고’로 평가받을 수 있을 정도로 전문성을 키워가자”고 주문했다.
통신사 CEO들은 올해 AI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강조했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AI 기술 패권 경쟁과 투자 경쟁이 가속화하고 있다”면서 “단기 수익성과 장기 성장성을 동시 고려하자”고 했다. 김영섭 KT 사장은 “세계 최고 기술을 가진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업을 바탕으로 기업 간 거래(B2B)사업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겠다”고 했다.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도 AX 생태계 구축을 통한 구조적 경쟁력 확보를 강조했다.
심화영ㆍ김희용ㆍ이계풍 기자 doroth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