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K이노베이션이 입주해있는 서울 종로구 서린동 SK 본사 전경 / SK 제공 |
SK이노베이션은 작년 연간 매출 74조7170억원, 영업이익 3155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매출 77조2885억원, 영업이익 1조9039억원) 대비 매출은 3.3% 감소, 영업이익은 83.4% 급감한 수치다. 당기순손실은 2조4033억원으로 전년 순이익 554억원에서 적자전환했다.
지난해 사업별 연간실적은 △석유사업 매출 49조8399억원, 영업이익 4611억원 △화학사업 매출 10조3517억원, 영업이익 1253억원 △윤활유사업 매출 4조2354억원, 영업이익 6867억원 △석유개발사업 매출 1조4766억원, 영업이익 5734억원 △배터리사업 매출 6조2666억원, 영업손실 1조1270억원 △소재사업 매출 1334억원, 영업손실 2827억원 △SK이노베이션 E&S사업은 매출 2조3537억원, 영업이익 1234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SK이노베이션 E&S 실적은 합병 이후 지난해 11월 및 12월분만 반영됐다. 지난해 전체 영업이익은 1조1157억원이다.
다만, 4분기에는 실적 반등의 모멘텀이 나타났다. 4분기 영업이익은 1599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난방유 등 석유제품 수요 확대와 환율 상승으로 정제마진이 개선됐고, 지난해 11월 합병한 SK이노베이션 E&S의 영업이익 1234억원이 반영된 결과다.
사업부문별로는 △석유사업 매출 11조6868억원, 영업이익 3424억원 △화학사업 매출 2조3734억원, 영업손실 842억원 △윤활유사업 매출 9707억원, 영업이익 1395억원 △석유개발사업 매출 3792억원, 영업이익 1458억원 △배터리사업 매출 1조5987억원, 영업손실 3594억원 △소재사업 매출 312억원, 영업손실 742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사업전망과 관련해 SK이노베이션은 석유수출기구 플러스(OPEC+) 국가를 제외한 미국, 캐나다 등 국가가 원유 생산을 늘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항공유와 같은 일부 석유제품 수요 확대 영향으로 정제마진은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화학사업은 글로벌 파라자일렌(PX) 설비 증설 규모 축소 및 수요 개선이 예상되나, 글로벌 주요국가의 경기둔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라 스프레드 개선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윤활유사업은 SK엔무브 고급 윤활기유 제품인 그룹Ⅲ의 견조한 수요를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석유개발사업은 이달 베트남 15-2/17광구에서 일산(日産) 최대 1만 배럴 규모 고품질 원유 시험 생산에 성공했다. 향후 15-2/17 광구의 추가 탐사와 평가 작업을 통해 매장량을 확인한 뒤 본격적으로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배터리사업은 연간 두 자릿수 매출액 성장이 기대된다. 핵심 전략 시장인 북미에서의 판매 물량 확대와 이로 인한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증가에 힘입어 연간 매출 및 손익이 개선될 전망이다. 또한, 원가 구조 개선 등 수익성 제고 활동 강화,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및 SK엔텀과의 합병 시너지를 통한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는 설명이다.
소재사업은 기존 고객사 대상 판매 확대와 신규 고객사 수주 및 출하 시작으로 판매량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SK이노베이션 E&S사업은 올해 하반기 상업생산 예정인 연 130만톤 규모 호주 깔디따-바로사(CB) 가스전 적기 도입 등 경쟁력 있는 LNG 공급을 통해 안정적으로 이익을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
서건기 SK이노베이션 재무본부장은 “올해 글로벌 정세 변화로 에너지 사업환경이 불확실하지만, SK E&S와의 합병으로 에너지 밸류체인 확보와 시너지 창출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글로벌 일류 에너지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도전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SK이노베이션 이사회는 주당 2000원의 배당금 지급을 의결했으며, 오는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최종 승인될 예정이다.
김희용 기자 hyo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