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한화, 최첨단 ‘다층 방공 솔루션’ 앞세워 중동 시장 공략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2-17 16:21:55   폰트크기 변경      
IDEX서 L-SAMㆍLAMDㆍM-SAM 등 방공솔루션 기술력 과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이 UAE 아부다비에서 개최되는 국제방산전시회(IDEX) 2025에 참가해 부스를 마련한 모습 / 한화 제공
[대한경제=김희용 기자] 한화그룹이 중동ㆍ북아프리카(MENA) 시장 공략을 위해 첨단 방공무기체계를 대거 공개하며 발주처들의 이목 사로잡기에 나섰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은 오는 21일까지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IDEX 2025’에 공동 참가해 한국형 통합 다층 방공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17일 밝혔다.

양사는 ‘한국형 사드’ L-SAM, ‘한국형 아이언돔’장사정포 요격체계(LAMD), ‘한국형 패트리어트’ M-SAM의 주요 구성요소인 다기능레이다(MFR)와 유도탄, 발사대 등 첨단 대공방어 역량을 제시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IDEX 2025에서 선보인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L-SAM) 유도탄 / 한화 제공
특히,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L-SAM)은 이번 전시회에서 첫선을 보였다.

우리 군이 보유한 어떤 대공무기체계보다도 먼 거리에서 날아오는 적의 미사일을 추적하고 조기에 파괴할 수 있는 지대공 방어체계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국방과학연구소와 개발한 L-SAM 유도탄은 성층권 고도 도달을 위한 ‘다중 펄스 추진기관’과 고고도 정밀제어가 가능한 ‘위치자세제어장치’를 탑재했다.

한화시스템이 IDEX 2025에 전시한 L-SAM 다기능레이다(MFR) / 한화 제
한화시스템은 각 무기체계의 ‘눈’ 역할을 하는 다기능레이다를 공개했다. 중동 수출 주역인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M-SAM, 천궁)의 다기능레이다 수출형 모델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L-SAM) 다기능레이다 △동시다발로 쏟아지는 장사정포를 탐지ㆍ추적할 수 있는 장사정포 요격체계(LAMD) 다기능레이다 △공격형 드론을 미리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안티드론 시스템과 △통합지휘통제체계(C2)까지 다계층 대공방어시스템 역량을 선보였다.

한화시스템 관계자는 “첨단 레이다 기술 및 대공방어체계 역량은 중동 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IDEX 2025 전시회에서 한화시스템이 해상도 0.25m급 소형 SAR 위성을 전시하고 있다 / 한화 제공
지구관측위성 중 하나인 SAR(합성개구레이다) 위성은 레이다파를 사용해 광학 위성으로는 관찰이 쉽지 않은 야간이나 구름이 낀 날씨 속에서도 고해상도 영상 획득이 가능하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IDEX 전시에서 수십년 동안 축적된 레이다 기술을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해상도 0.25m급 소형 SAR 위성을 중동 시장에 최초로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하는 소형 SAR 위성은 현재 선진국과 동등한 기술력을 자랑하며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IDEX 2025에 전시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 / 한화 제공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국산엔진을 탑재한 K9 자주포 실물도 전시했다.

1000마력 디젤 엔진을 장착한 K9 자주포는 최근 이집트의 내구성 테스트를 통과했으며, 올 하반기 이집트 현지에서 본격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앞서 지난 2022년 이집트 정부와 2조원 규모의 K9 자주포, K10 탄약 운반차, K11 사격 지휘 장갑차 등 패키지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김희용 기자 hyo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산업부
김희용 기자
hyong@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