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경제=임성엽 기자]서울숲 일대 대개조 프로젝트가 가시화됐다. 서울숲과 한강을 둘러싼 45만㎡ 규모 성동구 성수동 ‘삼표레미콘 부지’ 개발사업이 관련 사전협상을 끝내고 이르면 내년, 첫 삽을 뜬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착수한 ‘삼표레미콘 부지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절차를 완료하고 19일 민간 측에 협상완료를 통보했다고 이날 밝혔다.
1977년부터 약 45년 간 레미콘공장이 운영됐던 해당부지는 지난 2017년 서울시와 성동구, 삼표산업, 현대제철 업무협약을 통해 기존 시설 철거를 합의했다.
사전협상에 따라 삼표레미콘 부지는 연면적 44만7913㎡ 규모의 업무시설, 숙박시설, 문화ㆍ집회시설, 판매시설 등을 포함한 지상 77층 규모의 복합시설을 조성해 성수 일대와 연계한 글로벌 미래산업 거점으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제1종일반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지역을 상향했다.
대상지는 건축혁신형 사전협상 최초 사례다. 시는 서울숲 인근에 위치한 부지의 상징적 입지를 고려해 서울 대표 랜드마크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난 2023년 국제현상설계공모를 진행해 부르즈 할리파(두바이)와 63빌딩 등 국내외 유명 건축물을 설계한 ‘스키드모어, 오잉스 앤드 메일(S.O.M)’사를 선정했다. S.O.M사는 독창적 건축디자인과 함께 인접한 서울숲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통합적인 구상안을 제안했다.
![]() |
인접한 서울숲~고산자로~응봉교(응봉역)간 보행 연계와 서울숲 이용 시민의 다양한 활동과 이동 편의를 높이기 위한 열린 공간을 다수 확보하는 등 서울숲의 동선 개선과 연결성 확보에 중점을 뒀다.
우선 서울숲과 삼표레미콘 부지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해 ‘입체보행공원(덮개공원)’과 지하보행통로를 신설하고 주요 연결 결절점에 공개공지와 공유공간을 조성, 열린 공간도 최대한 확보한다.
또 건축물 저층에 조성되는 녹지공간과 최상층 전망대를 시민에게 개방해 한강과 서울숲을 조망할 수 있는 새로운 명소로 탄생시킨다는 계획이다.
해당 부지는 지난해 8월, 민간분야 도시건축디자인혁신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서울시 도시건축디자인혁신 대상지’로 선정돼, 향후 건축위원회 심의 시 특별건축구역 지정을 통해 용적률을 최대 105.6%포인트 범위까지 추가 완화했다.
사전협상을 통해 확보한 6054억 원의 공공기여는 서울숲 일대 상습 교통정체 완화를 위한 기반시설 확충과 ‘유니콘 창업허브’ 등 시설 조성에 투입할 예정이다.
확보액 중 약 4424억원 상당(73.1%)은 동부간선도로~강변북로, 성수대교 북단램프 신설 등 인접 지역 기반시설 확충에 할애해 주변 지역의 상습적인 교통문제 해결에 활용한다.
연면적 5만3000㎡ 규모의 ‘유니콘 창업허브’는 유망 스타트업의 고속성장(스케일업)을 지원하는 전문 창업 시설로 조성한다.
공공시설 설치제공 외 공공기여 부분, 약 1629억원은 설치비용(현금)으로 받아 서울숲 일대 리뉴얼을 통한 종합적인 재정비에 활용할 계획이다.
해당 금액은 관계법령에 따라 자치구 약 489억, 서울시 약 1140억원으로 배분한다. 개장 20주년을 맞는 서울숲 일대를 서울 대표 수변녹지공간으로 탈바꿈시키도록 서울숲 일대 종합적 재정비 등에 우선 투입한다.
![]() |
시는 상반기 중 ‘서울숲 일대 리뉴얼 마스터플랜 공모’를 통해 서울숲과 주변 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방안 관련 아이디어도 받아 사업 실현방안을 구체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최근 업무시설이 급증하는 성수지역 내 문화, 공연 시설 등 부족시설 확충 방안도 자치구와 함께 모색한다.
사전협상은 향후 지구단위계획 결정 등 법정 절차를 거쳐 보다 구체화 될 예정이다. 착공은 민간사업의 경우 건축위원회 심의, 인허가를 거쳐 이르면 2026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는 앞서 효율적인 협상을 위해 관련 지침에 따라 민간사업자 측 협상단 외, 분야 별 민간전문가를 포함한 ‘협상조정협의회’를 가동했다. 총 5회에 걸쳐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쳤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삼표레미콘 부지 개발과 서울숲 일대 재정비를 통해 서울의 새로운 명소가 또 하나 탄생할 것”이라며 “이번 개발이 성수지역이 글로벌 업무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임성엽 기자 starleaf@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