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대한경제 DB. |
[대한경제=김봉정 기자] 대내외 불확실성에 휩싸인 한국경제가 저성장 국면으로 치달으면서 청년층의 금융여건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대다수 청년이 빚을 짊어진 채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있는 상황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팍팍해진 청년의 삶은 ‘한탕주의’나 ‘빚투’와 같은 부작용은 물론, 경제적 불평등과 불공정 시비와 맞물려 세대갈등이나 젠더갈등 등까지 심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나 관계기관을 넘어 우리사회 구성원 모두가 청년의 빚과 소비생활에 관심을 갖고, 일자리 창출과 함께 자산증식을 지원할 수 있는 대책 마련에 팔을 걷어붙여야 할 때라고 지적한다.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만 19~39세 청년(1238만5201명 대상) 중 약 45.5%가 대출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평균 대출액은 8100만원으로 전년 대비 600만원 늘었는데, 이후 경제여건을 고려하면 차주 비중은 이제 절반에 육박하고 평균 대출액도 1억원에 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금융취약 청년층의 사정은 더 열악하다.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가 2023년 개인회생 신청자 중 ‘청년재무길잡이’를 이수한 만 29세 청년 149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 채무액은 7159만원에 달했다.
채무발생 원인은 생활비(59%)와 주거비(18%), 사기 피해(12%), 학자금(10%) 등의 순인데, 이는 결국 대출 없이는 기본적인 생활조차 어렵다는 뜻이다.
이런 가운데 통계청은 올 1월 청년층의 체감실업률(고용보조지표3)이 전년 대비 0.8%포인트(p) 오른 16.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1년 2월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이다.
정부가 다양한 청년금융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일자리 문제는 물론 결혼이나 출산이 언감생심인 청년들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형국이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여러 대책이 있었지만 그간 대출 중심의 지원책은 청년층이 쉽게 빚을 떠안는 구조를 만들 뿐”이라며 “이제는 정부는 물론 모든 사회구성원이 참여해 근본적인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봉정 기자 space02@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