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잠식’ 우려에 약국계 반발
[대한경제=이승윤 기자] 균일가 생활용품점인 다이소의 건강기능식품(건기식) 판매에 대해 약국계가 반발하자 제약사들이 다이소를 통한 제품 판매를 철수하거나 철수를 검토하고 나섰다.
![]() |
서울의 한 다이소 매장 내부 전경/ 사진: 대한경제 DB |
1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일양약품은 전날 다이소 철수를 결정했다. 지난달 24일 다이소를 통해 비타민C 츄어블정 등 9종을 판매하기 시작한 지 5일 만이다.
게다가 대웅제약과 종근당건강도 다이소 판매 철수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웅제약은 루테인, 오메가3, 멀티비타민미네랄 등 총 26종을 다이소에 공급하고 있다. 종근당건강은 이달부터 락토핏 골드와 루테인지아잔틴 등 2종을 다이소를 통해 판매할 예정이었다.
이는 다이소의 건기식 판매에 따른 매출 하락을 우려한 약사들의 반발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다이소에서 판매하는 건기식은 ‘균일가 정책’에 맞춰 3000원과 5000원에 판매되고 있다. 약국에서 2~3만원대에 팔던 동일 성분 제품이 최대 6분의 1 수준으로 저렴하게 제공된다.
기존 건기식은 3~6개월분 단위로 판매되는 것과 달리, 다이소에서는 대량 생산과 포장 간소화를 통해 ‘1개월분ㆍ소포장’ 형태로 원가를 낮출 수 있었다.
소비자들은 “가격 부담이 적어 좋다”, “1달분씩 구매해 자신에게 맞는 건기식을 찾을 수 있다”, “접근성이 편리해졌다”는 등 호평을 내놨다.
반면 약사들은 다이소의 건기식 판매에 반발했다. 약국이 아닌 다이소를 통해 루테인이나 오메가3와 같은 인기 품목이 저가로 판매되면 기존 수요를 뺏길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약사 커뮤니티에서는 “제약사가 × 먹였다”, “D제약 전문의약품 1000만원어치 반품했다” 등 강경한 반응은 물론, 일부 약국은 해당 제약사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을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약국계의 반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6월 동성제약은 염색약 ‘세븐에이트’를 다이소에서 약국가보다 저렴하게 판매하면서 약국계와 갈등을 빚었다. 당시 대한약사회의 강력한 항의에 동성제약은 결국 다이소 유통을 중단했다.
이승윤 기자 lees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