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영상 SKT CEO가 MWC25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AI 사업 고도화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사진: SKT 제공 |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해 나흘간 진행되는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5(MWC25)’에서 국내 통신 3사가 ‘돈 되는 AI(인공지능)’ 전략을 잇따라 공개했다. 저마다 내세운 AI 비즈니스 모델로 미래 AI 시장 주도권을 잡겠다는 구상이다.
3일(현지시간) 막 오른 MWC25엔 전 세계 2700여개 기업과 10만여명 이상의 참석이 예상된다. 과거 이동통신 위주에서 AI, 로보틱스, 모빌리티 등 ICT 전반으로 영역을 확장하면서다. 190여곳의 한국 기업도 참가한다.
올해 행사 주제는 융합하라(Converge)ㆍ연결하라(Connect)ㆍ창조하라(Create)로, 모든 산업 분야에서 통신과 AI 등 첨단 기술이 결합되는 현상황에 대한 진단과 방향성을 나타낸다. 가장 주목받는 기술은 AI다. 글로벌 통신사들은 AI 기반 혁신 사례와 함께 AI 서비스를 통한 수익 창출 전략을 적극 소개할 계획이다.
![]() |
스페인 바르셀로나 MWC25 전시장./사진: 로이터=연합 |
전날 기자간담회를 개최한 SK텔레콤(SKT)도 AI 데이터센터(AI DC) 사업 모델, AI 에이전트 B2BㆍB2C 고도화 등 AI 수익화를 위한 청사진이 담긴 ‘AI 피라미드 전략 2.0’을 발표했다.
유영상 SKT CEO는 “AI DC 사업은 ‘알라카르테(맞춤형 상품)’ 형태를 갖춰 모든 유형의 고객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고도화하고, AI 에이전트 B2B와 B2C도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지속 제공하는 서비스 혁신과 함께 자강과 협력 기반으로 AI 테크 역량도 지속 강화해 AI 매출 성장을 이루겠다”고 설명했다.
SKT는 AI DC 사업을 △구독형 AI 클라우드 GPUaaS 서비스 △소규모 모듈러 AI DC △단일 고객 전용 AI DC △하이퍼스케일급 AI DC 등 총 4대 사업 모델로 세분화했다. AI 에이전트 사업에서는 SKT와 SK C&C가 원팀으로 개발 중인 ‘AI B2B 에이전트 에이닷 비즈’를 연내 출시해 SK그룹의 21개 멤버사로 확산, B2B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 |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비아 전시장 KT 부스에서 댄서들이 K-팝 음악에 맞춰 춤을 추고 있다./사진: 연합 |
KT도 ‘K-STREET’를 테마로 사무공간을 표현한 ‘K-오피스’, 미래 경기장인 ‘K-스타디움’, 한국의 포장마차를 재현한 ‘K-포차’ 등 공간에서 AI를 접목한 첨단 기술을 선보인다. 예컨대 ‘K-스타디움’은 AI 기술을 활용해 더 안전하고 몰입감 있는 미래형 경기장 환경에서 팬과 선수의 소통을 강화하는 서비스로, AI 실시간 자막 번역 등이 제공된다.
미래 네트워크 기술을 보여주는 ‘K-랩’에서는 6G 네트워크, AI 네트워크, 재해 복구 기술, 양자통신 기술 등 KT가 준비 중인 차세대 네트워크 비전을 공개했다.
LG유플러스는 AI 핵심 전략으로 ‘안심 지능’을 제시하며, MWC25에서 사상 첫 단독 전시관을 마련했다. AI가 발전하면서 개인정보 유출이나 해킹 등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고객들이 생활 속에서 믿고 사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전략이다. AI로 만들어진 음성을 구분해 스팸ㆍ피싱 피해를 방지하는 ‘안티딥보이스’ 등 기술이 소개됐다.
![]() |
LG유플러스가 MWC25서 공개한 ‘익시퓨처빌리지’./사진: LG유플러스 제공 |
이러한 안심 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익시퓨처빌리지(ixi FutureVillage)’도 공개했다. 3개의 방으로 구성된 미래형 주거 공간에서 자체 개발한 AI ‘익시(ixi)’가 노부부,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 소상공인 등 서로 다른 생활방식을 가진 고객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구현한 것이다.
통신장비 업체들도 혁신 기술을 대거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메인 행사장에 전시관을 마련하고, ‘갤럭시 AI’ 생태계를 통한 새로운 모바일 경험을 선보였다. 특히 AI 기능을 확대 적용한 신규 ‘갤럭시 A56 5G’와 ‘갤럭시 A36 5G’를 이 행사에서 최초로 공개해 AI 경험 대중화를 이끌 계획이다.
![]() |
MWC25에 마련된 삼성전자 전시부스./사진: 삼성전자 제공 |
새로운 ‘갤럭시 A 시리즈’는 모바일 AI인 ‘어썸 인텔리전스’를 탑재해 ‘서클 투 서치’를 비롯한 다양한 AI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역대 가장 슬림한 ‘갤럭시 S25 엣지’와 최초의 안드로이드 XR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도 선보이며 하드웨어 혁신을 강조했다.
이 밖에 AI 칩 기업인 엔비디아, 퀄컴, AMD는 그래픽 처리장치(GPU),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을 전시할 예정이다. 에릭슨, 노키아 등 통신 장비 업체들은 AI 기술을 적용한 5G 장비와 위성 등을 선보인다.
중국 기업들의 AI 공세도 주목받는다. 화웨이는 참가 기업 중 가장 큰 부스를 마련하고 통신 인프라 AI 최적화, AI 데이터센터, 스마트 시티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샤오미 역시 AI 기능을 탑재한 플래그십 단말기 ‘샤오미 15 울트라’와 전기차 등 다양한 신제품을 공개했다.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