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EO스코어 제공 |
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023년 결산 기준 자산 총액 5조원 미만 국내 중견그룹 상위 100곳 237명을 대상으로 오너일가의 경영 참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임원으로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중견그룹은 58곳이며 인원은 총 101명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중견그룹 오너일가 임원 101명은 평균 30.7세에 회사에 입사해 평균 34.5세에 임원으로 승진했다.
![]() |
CEO스코어 제공 |
중견그룹 오너일가가 사장단까지 승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2.3년으로, 대기업집단 오너일가 평균 12.9년보다 0.6년 빨랐다. 중견그룹 오너일가 자녀 세대의 임원 승진 소요 기간은 3.8년으로, 부모 세대 3.9년에 대비 0.1년 짧았다. 사장단 승진 소요 기간은 자녀 세대가 11.9년으로, 부모 세대(12.9년)보다 1년 빨랐다.
중견그룹 오너일가 남성의 임원 승진 소요 기간은 3.7년으로, 여성 4.6년보다 0.9년 빨랐다. 이는 대기업집단에서 여성의 임원 승진 소요 기간(3.3년)이 남성(4.6년)보다 1.3년 빠른 것과는 대조적이다.
회사에 들어오자마자 임원이 된 중견그룹 오너일가는 총 33명으로 전체의 32.7%를 차지했다. 대성그룹이 4명으로 가장 많았고 SPC가 3명, 현대와 조선내화가 각각 2명으로 뒤를 이었다. 입사와 동시에 임원이 된 주요 오너로는 김영민 SCG 회장,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등이 있다. 자녀 세대에서는 허진수 SPC그룹 사장, 허희수 SPC그룹 부사장, 김요한 서울도시가스 부사장 등이 있다.
![]() |
CEO스코어 제공 |
입사 후 임원 승진까지 가장 오래 걸린 중견그룹 오너는 오뚜기의 함영준 회장이었다. 함 회장은 19세였던 1977년에 오뚜기 입사 후 22년 만인 1999년에 임원으로 승진했다. 이어 콜마비앤에이치 윤여원 사장(13.5년), LIG문화재단 구자훈 이사장(13년), LIG손해보험 구자준 전 회장(12.9년), 휴스틸 박훈 대표이사(12.3년) 순으로 임원 승진이 오래 걸렸다.
김희용 기자 hyo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