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에서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사진: 고려아연 제공 |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전기차 시장의 일시적 침체기(캐즘)에도 이차전지 소재 사업 투자를 계획대로 진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한 중국의 희소금속 수출 규제로 인한 가격 상승이 올해 회사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 회장은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에 참석해 기자들과 만나 “운이 좋게도 캐즘 기간에 공장을 짓고 있는데, 캐즘 속도를 보면서 생산과 판매 전략을 조정할 수 있어 나쁘지 않다”고 밝혔다.
현재 고려아연은 연산 2만t 규모의 전구체 공장이 올해부터 본격 양산 체제에 들어갔으며, 니켈 제련소(올인원 니켈 제련소)는 2026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고려아연은 니켈 제련부터 전구체, 전해동박 생산까지 이차전지 소재 밸류체인을 구축하는 ‘트로이카 드라이브’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최 회장은 중국의 희소금속 수출 규제가 가져온 반사이익에도 주목했다. 그는 “안티모니, 비스무트, 인듐, 텔루륨 등 희소금속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어 올해 실적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고려아연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이러한 희소금속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특히 LG화학이 전구체 없이 양극재를 제조하는 ‘전구체 프리 양극재(LPF)’ 기술을 개발한 것에 대해서도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오히려 고순도 니켈 금속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고려아연의 니켈 제련 사업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원자재 가격 변동성에 대해서는 “고려아연은 가격 변동성이 큰 니켈 외에도 아연, 연, 구리, 금 등을 생산하는 회사”라며 “50년간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영풍ㆍMBK파트너스 측이 제기한 임시 주주총회 결의 효력 정지 가처분 소송과 관련해서는 “겸허히 법원의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중앙지법은 이르면 이번 주 중으로 판결을 내릴 예정이다.
![]() |
인터배터리 2025에 최윤범 회장과 동행한 황덕남 고려아연 이사회 의장(오른쪽)./사진: 고려아연 제공 |
이날 행사에는 황덕남 고려아연 이사회 의장도 동행했다. 황 의장은 지난 2월 고려아연 창사 이래 최초로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된 여성 사외이사다. 그는 “이사회 독립성에 대해 달리 문제를 제기할 상황은 아직까진 없었다”며 “고려아연은 국가를 위해 잘 운영해나가고 오래 존속해야 할 회사”라고 밝혔다.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