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 중 470개사를 대상으로 CEO 이력을 분석한 결과, 기술ㆍ연구 직무 출신 비중은 28.4%(181명)로 3년 전 대비 3.4%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생산ㆍ구매 등 현장직 출신 역시 3.3%(21명)로, 3년 전(4.6%)보다 1.3%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경영ㆍ재무 등 관리형 CEO 비중은 같은 기간 46.9%에서 49.8%(317명)로 2.9%포인트 늘어나며 전체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CEO스코어 관계자는 “글로벌 주요 대기업이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첨단 기술 트렌드에 맞춰 엔지니어 출신 CEO를 전면에 내세우는 추세와 대비되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특히, 자산 총액 5조원 이상인 대기업집단 소속 기업들(309명 조사)에서 이 추세가 더욱 뚜렷했다. 대기업 대표 가운데 기술ㆍ연구직 출신은 3년 새 4.6%포인트가 감소한 16.2%로, 5명 중 1명도 되지 않았다.
이와 달리 경영ㆍ재무 출신은 58.6%(181명)로, 같은 기간 5.0%포인트나 증가했다.
대기업 집단 이외 기업군(328명 조사)의 경우, 기술ㆍ연구직 출신이 39.9%로 상대적으로 비중이 컸지만, 이들 기업군도 역시 3년 전보다 2.1%포인트 줄어들었다. 이에 반해 경영ㆍ재무 출신 대표 비중은 41.5%(136명)로, 2022년 3월(40.5%)보다 1.0%포인트 늘었다.
엔지니어 출신 CEO의 감소추세는 대표이사의 대학 전공에서도 확인됐다. 경영ㆍ경제학 전공자 비중은 3년 전 27.3%에서 올해 29.9%로 2.6%포인트 늘어났지만, 전자ㆍ화학ㆍ기계ㆍ산업공학 등 공학계열 전공은 대부분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전자ㆍ전기공학 출신은 7.9%에서 6.8%, 기계공학 출신은 4.6%에서 4.2%, 산업공학 출신도 3.2%에서 2.7%로 감소했다. 화학 및 화학공학 전공은 9.9%로 동일했다.
![]() |
조사대상 기업의 대표이사 평균 나이는 59.6세로, 3년 전(58.4세)보다 1.2세가 높아졌다.
김희용 기자 hyo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