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부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FP= 연합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 전쟁에서 ‘에너지ㆍ인프라’ 부문에 국한해 부분 휴전하고, 단계적인 휴전 방안을 추진하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약 90분 동안 통화를 하고 에너지 인프라 시설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는 데 합의했다고 러시아 크렘린궁이 밝혔다.
백악관은 이와 함께 ‘흑해 해상에서의 휴전 이행과 전면적 휴전 및 영구 평화에 관한 기술적인 협상’을 중동에서 즉시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양측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30일간 전면 휴전’ 제안에 대해 푸틴 대통령은 휴전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문제와 우크라이나의 재무장 우려 등 문제를 제기하며 난색을 표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한 발 물러나 에너지ㆍ인프라에 국한된 ‘수정안’을 제안했으며, 푸틴 대통령이 이를 수용했다.
이날 합의가 당초 트럼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논의한 ‘전면 합의’안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협의를 위한 발판은 마련했다는 평이다.
다만 젤렌스키 대통령이 부분 휴전 합의는 수용하면서도 우크라이나가 배제된 채 러시아 측의 요구 제시만 거듭된 협의 과정 등에 불만을 드러내며 후속 협상에도 난항을 예고했다.
구체적 협의 내용에 대한 미러간 인식차도 감지됐다. 러시아측은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휴전’이라고 언급한 반면, ‘에너지와 인프라에 대한 휴전’이라고 설명했다. 공격 중단 대상이 ‘에너지 관련 (기반시설 등) 인프라’인지, ‘에너지를 비롯한 인프라’인지 명확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 스티브 위트코프 백악관 중동 특사는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이에 대한 질문에 “에너지와 인프라에 전반에 대한 것”이라고 확인했다. 그는 오는 23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미ㆍ러간 휴전 논의를 이어간다고 전했다.
푸틴 대통령은 통화에서 미국을 비롯한 외국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ㆍ정보 지원 완전 중단’을 요구했다. 두 정상은 또 전략 무기 확산 중단을 최대한 넓게 적용키 위해 다른 당사자들과 관여하기로 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미ㆍ러 군축 및 비확산 관련 협상에 중국을 포함시키겠다는 의중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오는 19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175명씩 포로를 교환할 예정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알렸다.
백악관은 두 정상이 양국 관계 개선이 서로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것에 공감했다며 “여기에는 평화가 달성됐을 때의 막대한 경제적 합의와 지정학적 안정이 포함된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젤렌스키 대통령은 “오늘 푸틴은 사실상 전면 휴전 제안을 거부했다”고 즉각 불만을 표했다. 그러면서 “전쟁을 질질 끌려는 푸틴의 시도를 세계가 거부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주요 외신들 또한 일제히 비관적 전망을 쏟아냈다. 뉴욕타임스(NYT)도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30일 전면 휴전에 동의하지 않았다는 것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이 앞으로 영토를 놓고 경쟁하는 동안 우크라이나 민간인과 도시 항구 등에 대한 공격이 계속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미ㆍ러 정상간 통화 직후 우크라이나 동부와 중부 지역에서 공급 경보가 울리고 키이우 중심부에서도 폭발음이 계속되며 이같은 전망에 힘을 실었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